-
-
미래가 온다, 나노봇 ㅣ 와이즈만 미래과학 2
김성화.권수진 지음, 김영수 그림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9년 5월
평점 :

미래 첨단과학 기술이 발전된 시대,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될까요?
와이즈만북스 '미래가 온다 '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미래의 첨단과학 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설명한 과학 교양서 시리즈입니다.
1권 '미래가 온다 로봇'에 이은 두번째 도서인데요.
이번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은 아주 작은 나노크기의 자기 복제 로봇, 나노봇에 대한 이야기로
어렵고 생소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을 그림과 쉬운 설명으로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요.

거대한 우주는 작은 소립자들이 뭉쳐 오랜 시간이 지난후 마침내 수소가 됩니다.
우주의 90 %를 차지하는 수소와 나머지 10%인 탄소, 산소, 질소, 규소등
92가지의 원자들이 모여 우주의 모든것들을 형성한다고 해요.
각각 고유한 성질을 가진 원자들은 다시 모이고 붙어서 새로운 분자를 만들어요.
공기, 물, 흙 심지어 우리 몸도 분자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원자나 분자와 같은 낯선 용어들로 아들이 어려워하진 않을까? 생각했는데
만화와 같은 재미있는 그림과 과학동화와 같은 쉬운 설명으로
몰입하며 재미있게 읽어나가요.
우리 몸의 DNA 유전자도 기다란 분자 덩어리라는 말에 저희 아이가 매우 신기해하며
관심을 가지는데요. 책을 읽으며 새로운 것들을 알게 되자 더욱더 흥미로워해요

원자는 너무나 작아서 눈으로 볼수 없지만
1981년 '로러와 비니히' 라는 과학자가 설계한 '주사 터널 현미경' 은 원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노벨상을 탈 정도로 획기적인 발명품인 '주사 터널 현미경' 으로
미세한 원자구조와 물질의 표면을 관찰 할 수 있게 되었어요.
이 현미경 덕분으로 원자를 하나씩 다룰수 있게 된 과학자들은 원자를 붙이고 쌓아 새로운 형태의 분자로 된 물질을
만들려했지요. 하지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어요.

인위적으로 원자를 쌓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우리 자연은 그렇지 않다고 해요.
분자는 분자를 끌어당겨 점점 더 복잡하고 거대한 분자를 만들며 자기 조립으로 분자 구조물을 만들어요.
이러한 놀라운 능력은 우리 몸속에서도 일어나고 있다고 하지요
세포속의 작은 리보솜이 단백질을 만들며 DNA 분자 속에 단백질을 만드는 명령어가 들어 있어요.
우리가 먹은 음식들이 DNA 명령에 따라 단백질을 만들어 분자들이 흩어졌다 붙었다 한다고 해요.
알면 알수록 더욱더 놀라운 사실들이라 저도 매우 흥미롭게 읽으며 책의 내용에 푹 빠져들었네요.

지금 과학자들은 분자들이 일하는 놀라운 나노 세상을 꿈꾸며
분자 기계의 부품들을 만들고 있다고 해요.
우리 몸속 세포가 복제되어 성장하듯이
작은 분자 기계가 복제되어 수없이 많아져 나노봇이 또다른 나노봇을 만들어
원하는 무엇이든 만들수 있는 세상!
앞으로 곧 다가올 나노 세상이 정말 기대가 되네요.

분자로봇과 인공 지능 시스템이 결합한다면 언젠가는 만능 분자 조립기가 탄생할거라고 합니다.
이 때 쓰이는 원료 혼합 용액으로 '탄소'가 가장 확실시되고 있는데요.
탄소는 이 세상의 모든 동식물과 화학 물질들에 들어있는 원자로
여러가지로 활용할수 있다고 해요.

새로운 첨단 기술, 나노봇과 만능 분자 조립 기계는 미래에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꾸어줄까요?
나노 세상에서는 환경오염이 사라지며 원하는 물건을 만들어 가질수 있어 모든것이 값싸고 풍부하며
서로 경쟁하거나 싸울 필요가 없다고 해요. 하지만 나쁜 사람들에 의해 전쟁 무기로 쓰이거나 나노봇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무한대로 증식할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어요. 이러한 부분은 첨단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꼭
해결해나가야 할 당면과제인것 같아요.
미래가 온다 나노봇
아들과 함께 아주 흥미롭게 책을 읽어보았어요.
나노봇에 대한 새로운 과학 지식과 다양한 원리들을 그림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살펴볼수 있었답니다.
'미래가 온다 ' 다음 시리즈 인공 지능편도 기대가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