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생일은 언제일까요? 천천히 읽는 책 33
이주영 지음 / 현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은 언제 태어났을까요?

누구에게나 태어난 생일이 있듯이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태어난 기념일도 분명 있을텐데요.

이 책의 작가는 우리나라의 4대 경축일인 3.1절 ,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이 있지만

 대한민국을 세운 날이라고  또렷하게 기념할만한 날은 없다고 합니다.

그럼 대한민국 생일은 언제일까요?

현북스 '​대한민국 생일은 언제일까요?'를 통해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살펴보며 100주년을 맞이한

 대한민국 건국 과정을 책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었어요.

 

 

 

 

 

 

얼마전 2015 교육부 국정교과서에서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념일이아니라

대한 민국 건국 기념일로 쓰겠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되기도했었는데요.

이렇게 역사를 바꾸게되면 그동안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싸웠던 독립운동을 무시하는 일이됩니다.

헌법에도 "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 을 계승한다고 명시하며

 제헌 헌법에는 3.1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했다고 나와있어요.

 

이렇듯, 대한민국은 1919년 3월1일에 태어났다는 사실을 부정할수 없어요.

아직까지 1919년 4월 13일을 대한민국을 건립한 날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긴하지만

3.1 독립 선언서를 읽는 순간 대한민국은 이미 태어났답니다.

올해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해요.

대한민국을 처음 세운 1919년을 1년으로 해서 세는 '연호'로

2018년이 100년, 2019년인 올해는 대한민국 101년이된답니다.

독립운동가들은 이러한 대한민국 연호를 썼다고해요.하지만 점차 연호는 사라지며

지금에는 대한민국 연호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졌지요. 저또한 이번에 알게된 연호로

대한민국 100주년의 의미를 가슴에 깊이 새겨봅니다.

 

 

 

 

 

 

 

 

 

 

 

 

 

 

 

 

 

1910년 대한 제국이 일본에 강제로 병합당하며 독립운동가들은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군을 교육하는 학교를 세우며 군사훈련도 실시하게됩니다

자주 독립을 위한 준비를 거쳐 1919년 3월 1일 대한 독립을 선언하며 임시 정부를 만들어

항일 독립 전쟁을 해 왔어요. 일제의 억압속에서도 대한민국이 탄생할수 있었던건

 3.1혁명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대한 만세'를 외친 안중근,

우리나라 역사를 연구하고 바로 세워 우리민족의 정신을 일깨우려한 신채호를 비롯해 손병희, 박상진,이회영과 6형제, 조소앙,여운형, 김구 등

 자주 독립에 앞장서며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있었답니다.

그 중심에는 ​ 3.1혁명이 있었음을 꼭 기억해야겠어요.


현북스 '대한민국 생일은 언제일까요? '​

어른 아이 모두 함께 읽으며 3.1혁명 정신을 되새겨 대한민국의 주인으로써

대한민국 탄생 100주년을 기쁘게 맞이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