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학교 박물관 천천히 읽는 책 21
오명숙 지음 / 현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나 가정에서 아이들의 체험학습을 위해 박물관으로 많이 가곤합니다.

저도 주말이면 두 아이들 데리고 근처 박물관에 다녀오곤하는데요.

책에서 뿐만아니라 직접 박물관에서 다양한 유물들을 보며 지식과 정보를 얻길 바랬어요.

하지만 아이들은 매번  지루해하며 재미없어하지요.

이번에 만나 본 ​'생각하는 학교 박물관 ' 으로

 그 이유를 알아보며 주제별 박물관 체험 학습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도 알수있었어요.



 

생각하는 학교

박물관


이 책은 저자가 '새롭게 보는 박물관 학교'에서 어린이들과 다양한 박물관을 탐방하며

연재한 글을 엮은 책입니다.

각 박물관의 주제에 대한 참가 학생들의 글을 통해

새로운 해석과 관점을 엿볼수 있어요.


 

 

제1부와 2부에서는 박물관의 의미를 찾아보며 박물관 체험학습에 처음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해

박물관을 어떻게 이용해야하는지 설명해주고 있어요.

 

제 3부는 박물관의 전시를 새롭게 보는 방법,

제 4부에서는 각 박물관의 전시를 통해 우리가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어요.

 

박물관을 처음 갈때에는 쉬운 박물관부터 찾아가야 합니다.

작은 주제를 잘 풀어낸 박물관이 어린이들의 흥미를  끌며 더욱 재미있기 때문이지요.

가회박물관에서 민화 속에 그려진 닭이나 문자, 부적의 뜻을 알아보며

쇳대박물관에서는 여러가지 열쇠와 자물쇠 모양을 볼수 있어요.

또한 떡박물관에서는 우리가 먹어본 여러종류의 떡을 볼수가 있지요.

런 쉬운 전시들을보며 더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고 박물관 체험의 즐거움을 느낄수 있을거예요.


 

박물관에서 지식과 정보를 쌓는것도 좋지만 새로운 의미를 찾는것도 중요합니다.

전시물들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우리가 얻을수 있는것도 달라지는데요.

박물관에 전시된 오래된 유물을 통해 그것들을 사용했던 사람들의 사연을 생각하며

나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지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공룡 뼈를 보며 무엇을 먹고 살았는지, 육식인지 채식인지 아이들 스스로 관찰하며

이야기합니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생각들이 나오며 공룡은 척추동물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지요.

또한 과학관에서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원리를 터득할수 있답니다.​

 생각을 통한 다양한 박물관 체험으로 박물관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수 있을거예요.

이 책에는 박물관을 비롯해 과학관, 미술관, 전시관을 체험한 학생들의

느낌과 생각을 적은 글들이 많이 실려있는데요,

각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여러 관점들로  다양한 생각들을 알수 있었어요. 

 

 가장 인상깊게 읽은 부분은 중앙아시아 유물에 대한 내용이예요.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관에 전시된 중앙아시아 유물들은 일제강점기 일본 승려가 가져온 것들로

해방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유물인 '외규장각 의궤'를 프랑스에서 반환받지 못한 상태에서 중앙아시아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은것 같아요.

우리 어린이들이 박물관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 생각하는 힘을 기르며

성숙한 인격체로 자라면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