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소설은 무엇인가를 한참동안 응시하는 예민한 시선으로 삶의 순간순간을 마치 스틸사진처럼 미세하게 포착해낸다. 또한 그녀의 소설 속의 사람들 대부분(물론 극단적인 방법으로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도 있지만)은 비극적인 삶의 운동 속에서도 각자의 쳇바퀴를 멈추지 않는다.

그녀의 이야기에는 감각의 모든 국면이 담겨 있다. 그 감각은 때로는 여섯 번째 감각이 되어, 읽는 이로 하여금 알 수 없는 감정이입의 상태로 만들어버린다. 그녀의 말에는 마술이 걸려 있다. 이 마술에 걸린 독자는 그녀와 함께 외딴 방에서 현실로, 현실에서 다시 외딴 방으로 돌아가길 반복한다.

이렇게 신경숙의 문체는 감각적이며, 여성적인 서정주의를 갖고 있다. 그녀의 언어에서는 여성이 느껴진다. 또한 망설임이 많고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소설 속 주인공들의 대부분은 신경숙식의 문체가 만들어낸 특별한 캐릭터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생생하게 표현된다. 주인공의 망설이고 머뭇거리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이며 자기 은폐적인 성격은 그녀의 언어가 가장 확실히 섬세하게 표현될 수 있는 가장 최상의 것이다.

그러면 신경숙식 언어는 다분히 여성적이므로 한계가 있는 것일까? 또 여성적인 언어와 감성은 남성들에게는 낯설고 이해하기 힘든 것이므로 남성독자들에게 글읽기의 부담을 주는 것은 아닐까? 그녀의 소설은 그러므로 독자를 규제하는가?

외딴 방에서 신경숙은 슬픔의 냄새를 풍긴다. 구체적인 사건, 일상적인 이야기들의 주변을 맴돌며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조용히 살짝 발을 내딛는 듯한 담담한 화법이 고통스러운 삶조차 슬프도록 아름다운 저녁 노을을 바라보는 듯하게 한다.

소설이나 문학을 읽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다. 그야, 혹 “베스트셀러인데 당연히 한 두 권쯤은 읽어야하지 않겠냐”하는 사람들이 그 소설이나 문학을 어쩌면 그토록 간단히 읽어버리는지 난 도대체 알 수가 없다.

이런 과시적인 책읽기에 대한 비판을 하는 나는, 그러나 교과서적인 책읽기에 길들여진 사람이다. 공부거리로 책을 읽는 버릇은 이미 오래전부터 길들여진 습관으로, 책을 읽으며 요약하고 주제를 파악하고 공식화해버리는 이 습관 때문에 문학은 나에게 어려운 텍스트인 것이다.

문학은 삶과 따로 노는 지식이 아니라 그 자체이기 때문에, 문학소설을 읽을 때는 창조적이어야 하고, 비유적인 사고를 해야하고, 감응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도식적인 책읽기를 행해왔던 나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낯선 책읽기이며, 어려운 책읽기이다.

그렇지만 문학을 읽는 것은 다른 사회과학서들 혹은 이론서들, 교과서를 읽는 것과는 또다른 차원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감동을 주는 것이므로 우리는 문학을 읽어야 한다. 특히 그것이 낯설고 또 힘든 사람은 더더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