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 물건을 버리고 삶을 선택한 10인의 미니멀 라이프 도전기
미니멀 라이프 연구회 지음, 김윤경 옮김 / 샘터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미니멀 라이프'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미니멀라이프란 자본주의적인 소비생활에서 벗어나 삶에서 진정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는 삶의 방식을 말한다. 미니멀리스트들은 버리는 행위를 통해 소중한 것에 집중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대신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에 주목한다. 어찌보면 현재 한국사회의 생활방식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

책은 방을 작게 꾸미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각자 사연과 방법은 다르지만, 그들은 심플 라이프를 추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몇개의 물건을 가졌는지가 아니라 꼭 필요한 물건인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간결하게 정리된 방을 보니 마음이 편해진다.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사지 않는다.’ ‘물건을 사기 전에도 이것이 내게 진정 필요한지 한번 더 생각한다’ 등의 방법을 통해 작은 방을 유지한다.



짜이 밀레가
나는 심플라이프에 관심이 많다. 꼭 필요한 것을 사고, 삶에서 중요한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는 삶에 대한 그들의 태도가 참 마음에 든다. 깔끔한 방을 보니 부럽기도 하고, 기분이 좋아진다. 그러고 나선 내 방을 돌아본다. 나름 깨끗하게 정리했지만 아직 부족한게 많다. 특히 사놓고서는 쓰지 않는 물건들이 많고, 추억이라는 이유로 버리지 못하는 공간을 차지하는 것들이 많다. 아기자기하다라는 핑계로 사모았던 악세사리들은 이제 더이상 날 설레게 하지 않는다.


다시 정리를 시작한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공간, 이 집을, 집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무실을 정리하고 최소화하겠다고 다짐한다. 단지 물건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것에 초점을 맞추는 태도를 가져야겠다. 지금 나는 결혼을 생각하는데 나의 결혼집을 그려본다. 과연 어떤 삶을 추구할 것인가.



실천
1. 보지 않는 책들은 정리했다. 교과서중에 정말 필요가 없는 것들은 버렸다. 나중에 도서관에서 빌려도 전혀 문제가 없다. 무엇을 읽느냐를 보여줄 필요는 없다. 중요한 내용은 리뷰를 써서 남겨놓는게 더 더움이 된다. 정 필요한 책은 도서관에서 빌리자. ( 이렇게 말해도 아직 버리지 못한 책들이 엄청 많다)


2. 옷들중 지난 2년간 입지 않은 옷은 버렸다.


3. 로션이나 렌즈 세척제 등은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 모았다. 사용할때는 바구니만 가지고 오면 되니까 편하다.


4. 회사의 개인 폴더를 정리햇다.


더 하고 싶은 것들
옷의 제복화
보고싶은 영화 - 스웨덴 영화 - 365일 심플라이프



발췌

“온갖 물건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무엇이든 자신이 원하는 걸 골라 살 수 있는 선택의 자유가 있잖아요. 물건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싶지만, 그 선택의 자유까지 버리고 싶지는 않은 거죠. 무엇보다도 예전의 저 자신보다 지금의 저와 제 환경이 마음에 들어요. 아주 만족하고 있습니다.”


수저, 식기 도 최소화하면 설거지가 쌓이지 않는다

티비가 없으면 대화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텔레비젼 효과'라고 해서 친척이 오거나 친구가 왔을때 딱히 대화할게 없을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둘이 멍하니 티비를 보다가 거기에 나온 주제에 맞춰서 생각들을 말한다. 서로를 마주보지 않아도 대화를 할 수 있다. 나는 그 대신 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물건은 내 주인이 아니다. 물건들은 나에게 말을 건다. 대체 언제 사용할꺼야? 나는 이것과 더 어울리는데 혹시 살 마음은 없니? 등등


수납상자는 최후의 수단이다. 수납 상자를 쓰면 처음에는 물건을 구분해서 정리하다가도 결국은 안에 적당히 물건을 쑤셔 넣고 만다. 그런데도 뚜껑만 닫아두면 겉으로는 깔끔하게 보이기 때문에 안에 든 물건의 존재감을 잊게 된다. 이렇게 수납 상자는 편리하지만 그만큼 위험하다.


공간의 여유가 생긴다.


물건으로 과시하는 건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위일 뿐입니다.



미니멀리스트 생활을 시작하고부터는 기본적으로 거의 쇼핑을 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버리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일단 물건이 늘어나지 않으면 매번 정리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로는 물건을 새로 사는 데 신중해졌다. 버리는 일보다 ‘물건을 사는 일’에 초점을 맞춰야 깨끗한 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물건을 사지 않는 연습이 중요하다. 물건을 사기전에 '이것이 나한테 꼭 필요한가?' 라고 질문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물건을 구입할 때에도 살때는 싼것을 사는게 아니라 내가 정말 필요하고 좋은 것으로 산다. 오히려 더 오래동안 아껴가면서 물건을 살 수 있다. (나는 싼것을 사는편이었는데 버리고 다시 사는바에야 좋은것을 사서 아껴서 입는게 좋을것 같기도 하다)

물건은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사는 것이 그의 원칙이다. 현대소비사회에 반기를 드는 건 아니지만, 당장 필요하지도 않은 물건을 사서 집 안 여기저기에 쌓아두는 소비 행태는 피하고 싶다. 또 갖고 싶은 물건이 있어도 곧바로 사지 않는다. 정말로 내게 필요한 물건인지 아닌지를 충분히 고민한 후에 구매를 결정한다. 고민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마구 사들이다보면, 어느새 물건으로 자신을 과시하는 사람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신중하게 고른 물건들로 작은 집을 최대한 즐기며 산다.


버리고, 기부하고, 선물하자 (좋은데 사용하지 않는것만, 특히 가족에게 주는것은 가족들에게도 사용하지 않는 짐이 늘어나는 것이다. 새것과 같은 좋은 물건만 선물하자.)


보이는 정리 - 무인양품. - 소프트 박스 구매 (그런데 무인양품 소프트박스를 구매하다보면 한국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