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필요 없다 - 인공지능 시대의 부와 노동의 미래
제리 카플란 지음, 신동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로봇의 발명은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었다. 로봇들은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고, 위험한 일을 대신 해주기도 했다. 로봇의 발명은 기존에는 사람이 해야만 했던 일부 업무들을 자동 바꿨다. 이런 로봇에는 지능이 없었다. 인간이 프로그램으로 명령한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기계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제 단순한 로봇이 아닌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판세가 달라졌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배우면서 성장해가는 과학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알파고와 이세국의 바둑 대국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다. 혹자는 인공지능이 향후 인간 미래를 더욱 편리하게 할 것이며, 가사 노동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심지어 인간의 친구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금의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충분히 실현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언제나 좋은 부분만 있을까? 만약 우리가 잘못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인공지능의 발달은 세상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게 만든다. 편리함이 모두에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그것은 부와 정보의 불균형만 심화될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수익을 만든다면, 그 격차는 날로 심해질 것이다. 책에 언급된 예로는 초단타매매 시장에서 수익을 만들어낸 일부 사람들과 또 그것의 문제점으로 발생된 다우존스의 폭락은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경계한다.

또한, 인공지능이 발달하게 되면 수 많은 직업이 사라질 지도 모른다. 물론 인공지능으로 인해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라지는 직업 수에 비할 수가 없다.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직장을 잃게 되고 자연스럽게 인간다운 삶을 살기 어려워질 것이다. 모두를 위한 장소가 극 소수 부유층 (인공지능 기계를 소유한) 으로 변할 것이다.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없는 일반인들은 더욱 살기 어려운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


인간은 인공지능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인공지능은 인간과 정확히 일치할 수 없다. 인간의 성격, 도덕감정, 가치관 등을 인공지능에 어떻게 setting 할 것인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잔디밭에서 개에게 물리고 있는 어린아이를 본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어쩌면 ‘잔디밭에 들어가지 말라’ 라는 셋팅 때문에 가만히 지켜보고 있을지 모른다. 어쩌면 술에 취한 사람이 운전하려는 것을 막기위해 차키를 뺏는 사람을 소매치기로 오인하고 검거하는 어리석은 일이 벌어질 지도 모른다. 인공지능은 특정 목적을 위해 setting 되었기에 만일 잘못된 목적으로 설계된 인공지능은 사회의 위험을 일으킬지 모른다.


이 책은 인공지능이 많아질 미래에 우리가 어떻게 사고해야하는지를 돌아보게 만든다. 막연한 기대보다는 주체적 준비를 통해서 올바른 사용을 고려해야한다. 책의 내용은 인간이 인공지능과 올바르게 공존하기 위한 지적도구, 윤리적 기초, 심리적 토대를 구축함에 도움을 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마이클샌델 교수의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이 많이 떠올랐다. 윤리적, 철학적 토대를 바탕으로 발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