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기술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지음, 성귀수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보자. 주변에 사람들은 분명 이상하게 생각할 것이다. "너 화났어? 혹시 무슨 고민있니?" 라고 물어볼지도 모른다. 이렇듯 침묵은 입을 다물고 아무런 말을 하지 않는 ‘익숙하지 않은 행동’이다. 보통은 기분이 좋지 않을때 하는 행동이기도 하다. 침묵에 익숙해지기란 결코 쉽지 않다.  침묵은 대화가 되지 않는사람들의 특징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다.


하지만 침묵은 단순히 말 하지 않는 것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 오히려 상대방과의 소통에서 적절한 침묵은 불통이 아닌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종교지도자나 유명인들은 중요한 이슈에 침묵을 지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고요한 침묵은 최고의 화술의 효과를 가질때도 있다.


18세기 프랑스에서 활동한 조제프 앙투안 신부은 침묵의 필요성과 진정한 침묵의 가치를 책으로 만들었다. 그는 침묵의 의미를 이해하고, 소통을 위한 침묵을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말을 안하는 것이 아니라 때와 장소, 의도에 따라 침묵을 분류했다.  '신중한 침묵, 교환한 침묵, 아부의 침묵, 조롱의 침묵, 감각적 침묵, 아둔한 침묵, 동조의 침묵, 무시의 침묵, 정치적 침묵, 변덕의 침묵' 등 다양한 종류의 침묵들은 일상에서 침묵의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악한 의도와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침묵은 진정한 의미의 침묵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는 침묵의 적용에 앞서 그 의도와 적절성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적절한 이해가 없는 침묵은 공허할 뿐이다.


침묵은 말을 하지 않는것 뿐만 아니라 글에도 같이 적용될 수 가 있다. 저자 또한 당시 수 많은 정보의 홍수로, 특히 옳지 않은 정보의 홍수로 인해 사람들은 제대로 된 글을 읽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 책이 18세기 책이라는것을 감안한다면 그때도 과연 책이 많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수 많은 책이 범람하는 21세기와 sns에 쓸모없는 많은 글들을 보면 얼마나 놀랄지 상상해본다)  


이 책은 종교자가 씌여진바와 같이 침묵의 종교적 의미도 다룬다. 당시 신을 불경시하는 젊은 세대를 비난,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옳치 않은 방법으로 신을 비난하는 사람에게 침묵한다면 그것은 옳은 의미의 침묵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사실 종교적인 부분은 그리 깊게 읽지 않았다.)

짜이 밀레가
진정한 침묵에 대해 생각한다. 침묵하는 연습을 하되, 진정한 의미의 침묵을 떠올리자. 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생각을 표헌하는 글 또한 신중한 태도를 갖자. 평화로운 마음을 잊지말자


침묵 원칙

1. 침묵보다 나은 할 말이 있을 때에만 입을 연다.

2. 말을 해야 할 때가 있듯이 입을 다물어야 할 떄가 따로 있다.

3. 입을 닫는 법을 먼저 배우지 않고서는 결코 말을 잘할 수 없다.

4. 말을 해야 할 때 입을 닫는 것은 나약하기 때문이다. 입을 닫아야 할 때 말을 하는 것은

경솔하고도 무례하기 떄문이다.

5. 말을 하는 것보다 입을 닫는 것이 덜 위험하다

6. 사람은 침묵 속에 거함으로써 스스로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침묵을 벗어나는 순간 자기 자신보다 남에게 의존하는 존재가 되고 만다.

7. 중요한 말일수록 후회할 가능성은 없는지 다시 한 번 되뇌어보아야 한다.

8. 지켜야할 비밀이 있을 때에는 아무리 입을 닫고 있어도 지나치지 않다.

9. 아는 것을 말하기 보다는 모르는 것에 대해 입을 닫을 줄 아는 것이 더 큰 장점이다.

10. 침묵은 편협한 사람에게는 지혜를, 무지한 사람에게는 능력을 대신하기도 한다

11. 말을 많이 하고픈 욕구에 휘둘려 정신 나간 사람으로 취급받느니, 침묵 속에 머물러 별 재주 없는 사람으로 보이는 편이 낫다.

12. 용감한 사람의 본성은 과묵함과 행동에 있다. 양식 있는 사람은 항상 말을 적게 하되 상식을 갖춘 발언을 한다.

13. 무언가를 말하고픈 욕구에 걷잡을 수 없이 시달리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결코 입을 열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14. 침묵이 필요하다고 해서 진솔함을 포기하라는 뜻은 아니다. 어떤 생각들을 표출하지 않을지언정 그 무엇도 가장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