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덕혜옹주는 일제 시대에서 어머니가 시해당하고, 아버지는 음식으로 독살 당한 불우한 운명을 가진 조선의 마지막 황녀다. 나는 사실 이 책을 읽기전에 그녀가 누군지 알지 못했다. 그는 일제 치하에서 정략적으로 일본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대마도 영주의 아들과 결혼한다. 그녀는 자신의 조국을 떠나 일본에서 살게된다. 자신의 일본인 남편의 아이를 낳고 지내고 있었지만 끝까지 조선을 그리워한다. 하지만 아이는 자신이 조선인이 아니라고 어머니를 부정하고, 자상하게 그녀를 이해해주던 남편까지도 그녀를 외면한다.
그녀는 결국 정신병원에 강제 요양되고, 대한민국은 그녀를 잊었지만 -특히 이승만은 그녀를 완벽히 잊었고 잊혀지게 하고 싶었지만- 그녀는 조선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다잡을 수 없다. 그녀는 결국 조선의 청년들의 도움을 받아 정신병원을 벗어난다. 책에서는 그녀가 고국으로 돌아오는 부분은 나와있지 않고, 어린 시절과 일본에서의 삶까지만 서술된다. 책을 넘기며 그녀가 겪었을 고통과 고국에 대한 그림움은 마음을 무겁게 한다.
"엄마 싫어!! 난 조선 사람이 아니라 일본인이라고!! 조선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 라며 울부짖는 자신의 딸을 보는 덕혜옹주의 마음을 어땠을까,,,
짜이밀레가
소설을 통해 역사를 재조명한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사람들에게 잊혀진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소설이라는 매게체로 대중에게 생각을 불러 일으킨다. 아마 덕혜옹주도 소설로 알려지지 않았다면 대중에게 잊혀질 존재였을 것이다. 우리는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만한다. 만약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우리는 역사에서 배울 수 없고, 같은 문제는 반복될 것이다.
일본에 대한 분노. 이런 만행을 일본은 인정하지 않고, 자꾸만 자신의 행동들을 부정하려고 한다. 정말 화가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일제 침략 뿐만이 아닌 대한민국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은 덕혜옹주의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 데리고 오지 못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권력을 황실 후손의 입국을 허락하지 않았다. 물론 나는 이점을 교과서에서 배우지 본 적이 없다.
나는 역사 교교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그녀의 삶이 비참한 것은 맞다. 그리고 비범한 운명에 맞서 끝까지 자신의 조국을 그리워한 것은 가슴이 아팠다. 하지만 그녀에게 온전히 공감할 수는 없었다. 그녀는 수 많은 조선 사람들 중에서 왕실에서 태어난 사람이다. 가슴 아픈 역사의 현실이지만, 나는 그보다 일본인에게 끌려가 얼굴에 흉터가 된 그녀의 하인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다) 삶이 더 안타까웠다.
참고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bkbX&articleno=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