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수익금 전액은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를 기리고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공익적 활동에 기부됩니다.” 


세월호 사건을 슬퍼했으면서도 내가 한것은 서명밖에 없었고, 그들의 고통이 시간이 지날수록 잊혀지고 있는 나에게 이 짧은 문장이 나의 마음을 미안함을 가득 채웠다. 사실 이 책을 다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책에 소개된 한명의 사연이라도 공감할 수 있다면 좋겠다. 특히 타인의 고통에 대해 거짓정보로 편을 나누고, 그들에게 폭언과 평생 가지고갈 상처를 주는 악마와 같은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글을 읽었을 수 있다면 좋겠다. 그들의 사연 사연 하나가 눈물을 만든다. 


우리 가족이었더라면 어땠을까 생각하니 정말 마음이 찢어질 것 같다. 국가가 지켜주지 못해 세상을 떠난 많은 이들의 슬픔, 그리고 그들을 위로해주기는 커녕 자신들의 잘못을 덮으려고만 하는 정부와 언론… 정말 얼마나 힘들었을까… 눈으로, 그리고 가슴으로 읽었다. 지하철에서 다른 사람이 볼까봐 신경도 쓰지 않고 그들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보듬어주고 싶었다. 


우리는 인간의 슬픔에 공감해야 한다. 특히 사회적 약자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그들에게 힘을 줄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비단 예로, 세월호 사건의 비극은 특정인들에게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한명의 국민으로서, 이해와 사랑이 넘치는 건강한 사회가 되길 기원한다. 그 출발점은 상대방에 대한 공감이라 생각한다. 부디 유가족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따스한 관심과 도움을 보내자. 그들은 우리 옆집 사람은 아닐지라도, 우리의 이웃임을 기억하자.



‘세월호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