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반양장)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은 만능이 아니다. 경제학은 어렵지 않다. 경제학에 익숙해짐으로써 세상을 바꾸자. “


대다수의 시민들은 사회적인 이슈나 정치인, 연예인 사건에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지만, 경제 관련 이슈에는 소수를 제외하곤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아무래도 경제학은 어렵다라는 고정관념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나또한 그중 한 사람이다.  수 많은 공식들, 그래프, 이론, 숫자들의 집합체인 경제학을 떠올리기만 해도 머리가 복잡하다. 그래서인지 경제학자, 지식인, 경제관료들의 말은 더욱 권위적으로 다가온다. 잠깐, 우리는 여기서 질문을 던져보자. 우리가 경제학을 권위적으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현상은 옳은가? 


저명한 경제학 교수  ‘멘큐’ 교수는 경제학이 과학처럼 정답이 있는 학문으로, 권위적으로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멘큐 교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경제학은 모든 것을 아우르는 전 우주적 학문이며, 정답이 정해져 있는 결과를 이야기 한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의 말과는 달리 경제학은 절대로 완벽할 수 없는 분야다. 다른 영역과는 달리 경제학은 ‘인간의 자유 의지’에 따라 현상과 결과가 변할 수 있는 분야기 때문이다. 인간의 자유의지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듯 경제학은 정답이 정해진 답이 아님에도 본인들의 학문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그것이 절대 진리인양 대중에게 설명한다. 


문제는 모든 역사가 그러하듯, 경제 역사 또한 반복된다는 것이다.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지 않는다면 동일한 문제를 답습하게 될 뿐이다. 특히 경제는 인간의 삶에서 절대로 분리 될수 없는 실천적 학문으로 우리 사회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경제학에 대해 더욱 친숙해져야 한다. 만약 우리가 경제학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사회는 경제학자들, 그리고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의도대로 변하게 될 것이다. 현재 1%에게 모든 부가 집중되는 자본주의 문제를 예로들면, 결과를 예측할 수 없었던 무지가 원인이라지만, 무관심은 상황을 악화시킨 더 나쁜 공범이다. 이처럼 경제에 대한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우리는 더 나은 삶과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 경제학에 친숙해져야 한다. 


1부 : ‘경제학에 익숙해지기’ 에서는 자본주의의 역사와 다양한 경제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다룬다. 개인적으로 다양한 경제학파들의 사상을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본인들의 주장을 인간의 합리성, 계급, 사회의 원동력, 해결 방안 등의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인상깊었다. 각 학파들의 주장과 발전 등의 설명이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으며, 마치 대학생때 경제학 개론 수업을 다시 듣는것 같았다. 쉽고, 명료하게 설명함으로써 경제에 대한 관심을 높여준다. 


2부 ‘경제학 사용하기’ 는 일상에서 대면하는 현실 경제(수치, 생산, 산업, 실업, 노동 등)를 다룬다. 2부를 읽고나면 각 분야와 현상을 해석하는 방법을 다른 관점으로 생각하게 된다. 수치의 진정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가장 중요한 '누가 이득을 보는가?' 라는 질문을 떠올리며 특정 정책으로 인한 수혜자와 파생되는 결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고하게 된다. 


우리 개개인은 법을 만드는 정부 관료는 아니지만, 지향하는 사회 방향을 위해서, 혹은 최소한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신문의 수치만 일방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아닌 사실에 따라 경제학과 사회현상을 해석하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짜이 밀레가 

 

무지로 인한 외면이 아닌 인지를 통한 참여가 필요하다. 

깨어있는 사고로 세상을 바라보자. 정책과 수치, 그리고 이면을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능력을 기르자. 언론이나 정부의 언급을 맹신하지 말고, 합리적 의심을 통해 사고의 지평을 넓히자. 경제학은 필수적인 학문이라는 점을 잊지말고, 지속적인 관심을 갖자. 



저자는 다양한 경제학파를 소개하면서 그들의 사상을 칵테일로 비유했다. 단 하나의 칵테일도 제대로 모른 내가 그것들을 처음 접했을때는 쓴맛이 나고, 머리가 아팠다. 하지만, 9가지 칵테일 한잔 한잔 마셔나가면서 개별 칵테일의 맛과 향, 그리고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한걸음 더 나아가 다양한 칵테일을 스스로 공부하고, 가능하다면 거창하지 않은 나만의 칵테일을 손수 만들어보고 싶다.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마르크스주의, 행동주의, 개발주의,  케인즈학파, 오스트리아 학파, 슘페터 학파, 제도 학파, 행동주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