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멋진 신세계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멋진 신세계는 발전된 과학기술이 인간의 보편적인 행복을 제공한다는 발전적 유토피아 사고를 경계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문명 사회에는 지배계급인 알파 계급부터 노예계급인 엡실론 계급까지 구분된 철저하게 계획된 사회다. 그들은 모든 사회 구성원을 평등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생각으로 사회 전체를 계획, 통제한다. 이 사회 목적은 쾌락 제공을 통한 체제 유지다.
이 사회의 인간들은 발전된 과학기술로 인간들은 임신을 통해 아이를 낳는 대신 인공수정을 통해 태아를 배양한다. 태아들은 배양과 동시에 계급이 형성되기에 각자의 계급에 맞춰 조건 반사 교육을 받는다. 예를 들어, 더운 곳에서 일 하게될 계급은 더위에 적응시키고, 육체노동자 힘든 상황에 적응 시킨다. 이렇게 조건반사 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성인이 되면, 자신의 일에서 고단함을 느끼는 대신 쾌락을 느낀다. 노동 계층은 업무가 끝나면 '소마'라는 약이 보급 받는다. 이 약은 인간의 모든 걱정을 잊고 잠을 자거나 현재에만 존재하게 만든다. (일종의 마약을 상상하면 된다.) 이 사회에서 걱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인공으로 태아를 배양하기에 더이상 사람들은 임신의 걱정으로부터 자유롭다. 사람들은 자유롭게 섹스를 즐긴다. 이 사회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도 늙지 않으며 쾌락만이 그들과 함께 한다. 따라서 사회 지배층은 사람들에게 '책' '사색' '고독' 등은 해로운 것으로 세뇌시키고, 구성원들이 자신이 누구인인지 조차 생각하지 못하게 만든다. 구성원들은 사회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살아가는 도구와 같다.
그러던 도중, 신세계의 어떤 한 연인은 뉴멕시코에 휴가를 갔다가 길을 잃고 비문명 세계를 접한다. 비문명 세계는 신세계와는 전혀 다른 소수의 집단으로 영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인공 수정 대신 체외수정으로 부족을 이어가고, 기존의 인간 사회의 규율이 남아있는 집단이다. 비문명 세계는 발전된 기술이 없으며 분명 무엇인가가 발전된 세계와는 상이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영어를 교육받은 '존'을 만나게 된다. 존은 문명세계에서 생활하다 길을 잃어버리고 정착하게된 '린다'의 아들로, 처음부터 비문명 세계에서 태어난 사람들과는 달리 비문명 사회 태어났지만 문명(영어)을 접한 사람이었다. 존은 신세계로부터 온 연인들과 대화를 나눈후 모든 사람이 행복한 문명 세계로 향한다.
하지만, 존이 생각한 멋진 신세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는 조건반사를 통해 만족을 느끼고, 섹스와 소마 복용으로 쾌락을 느끼는 사람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구성원들은 모두 건강했고, 쾌락으로 인해 웃고있었지만, 생각없이 사는 그들의 모습은 마치 동물원서 사육되는 동물들과 같았다. 존은 문명 세계의 최 상위층 지배계급인 총통을 만나 그와 대화를 나눈다. 그리고 체제를 유지하지 위한 그의 의견에 경악한다. [[‘사회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한다. 이를 위해 소수의 알파 계급과 다수의 베타, 엡실론 계급으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하층 계급 사람들이 생각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노동 시간을 늘린다. 조건 반사를 통해 자신들의 노동에서 행복을 느끼게 한다. 적정량의 소마를 배급을 통해 사람들을 쾌락으로 통제한다.’]]
존은 총통의 의견에 절대적으로 반박하며 울부 짖는다. ‘생각의 자유조차 없는 인간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다는 말인가! 아무런 걱정 없이 평생을 살다가 쾌락속에서 죽음을 맞이할지언정, 본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행복하단 말인가!’ 존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행복대신 인간으로써의 권리를 주장한다. 젊은이 영원하지 않더라도, 늙을 수 있고, 매독에 걸릴 수 있고, 슬퍼할 수 있는 권리. 생각할 수 있는 ‘자유’를 주장한다. 하지만, 이미 쾌락에 중독된 사람들은 그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그는 문명 세계를 떠난다. 그리고 문명 세계와 비문명 세계 모두 적응하지 못한 그는 자살로 자신의 삶을 마감한다.
짜이 밀레가
주체적 생각
문명 세계의 사람들은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고 안정적인 음식이 제공된다. 그들에게는 고통이 존재하지 않으며, 조건반사, 섹스, 소마로 인해 일상에는 쾌락만이 존재한다. 어찌보면 진정 멋진 신세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것이 없다. 바로 ‘생각의 자유’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그 조건이 빠져있다. 구성원들은 본인이 누구인지조차 주체적으로 생각하지 못한다. 그들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은 지배계층으로부터 교육되고, 세뇌된 가치다. 그들은 심지어 자신들에게 자유가 존재하는지 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과연 행복한 인간 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아니 심지어 행복한지 말하기 전에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부터 생각해봐야 한다. 나는 생각의 자유가 인간으로써의 기본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환경을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 더 나아가 행동하는 것이 인간으로써의 기본 조건이라는 말이다. 생각이 없는 사람들은 동물원에 갇힌 동물들과 흡사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생각없이 다른 사람에 길들여지는 것은 인간으로의 행동이 아니다. 올바른 사회는 무엇이 행복이다를 규정하고 만들어진 쾌락을 부여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에게 보여준다. 이는 교육에도, 개인의 행복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개인의 성찰의 기회를, 시간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 행복한 인간으로써의 첫 발걸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과학 발전의 방향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인간을(세상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든다. 모든 발전은 장밋빛 미래를 약속한다. 하지만, 우리는 발전이 가진 진정한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기술을 만드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멋진 신세계 소설과 같이, 지배계층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과학을 이용할때, 과학 본연의 가치는 체제 유지 수단으로 전락한다. 특히, 자본주의 가치가 일방적으로 우세한 현 시점에서 일부 과학 기술은 바판적 사고로 접근함이 필요하다. 발전 그 자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인한 개인의. 사회의, 자연의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올바른 가치관 없는 발전은 공허하다. 그리고 위험하다.
성찰
나는 '나의 가치관이 옳다.' 라는 가정으로 대화를 하는 경향이 있다. 때론 상대방을 가르치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하기도 한다. 멋진 신세계의 총통도 자신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생각이었다. 나는 과연 그와 얼마나 다른가. 지금 내가 가진 알을 (가치관을) 계속해서 깨는 연습을 하자. 신선한 생각으로 세상을 바라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