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1984의 이야기>
때는 1984년, 오세아니아, 유라시아, 이스트아시아라는 삼대 전체주의 국가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 3대국은 끊임없는 전쟁중이지만, 실상은 각자 자신들의 국내 체제 유지의 수단에 불과하다. 그중 주요 배경이 되는 오세아니아는 전지전능한 절대자 빅브라더를 앞세워 자신들의 체제를 통제한다. 그들은 내/외부 당원의 모든 행동을 통제하고, 역사를 왜곡하여 그들의 체제를 굳건히 한다. 텔레스크린이라는 장치로 당원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세뇌를 통하여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구조로 모든 사회를 탈바꿈한다. 그들은 영원한 체제 유지를 위해 자신들의 슬로건을 복창하게 만들고, 2분 증오를 통해 자신들의 체제 사상과 상이한 사람에 대한 적개심을 갇게 한다. 또한, 그들은 과거를 지배할 수 있다면 미래 또한 지배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역사왜곡을 자행한다. 이는 사람들의 의식을 통제하여 지도자 빅브라더를 전지전능한 존재로 만들기 위함이다. 그들은 인간의 기본 욕구인 성욕조차 죄악시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쾌락을 갖지 못하도록 만들기까지 한다. 그들은 사상경찰이라는 집단을 통해 당원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함함으로써 사람들은 아무런 자유와 생각이 없는 전체주의 사회에서 무지와 두려움속에 살아간다.
주인공 윈스턴은 역사왜곡 담당부서에서 당의 주장을 절대화하기 위한 일을 착수하던 도중, 당의 주장이 진실이 아니라는 단서를 발견하고 의심을 키운다. 그는 평소 의문점이 있었던 당의 통제방식에 대한 의문점을 제기하며, 스스로 조사를 해본다. 그러던 도중 그와 생각이 비슷한 여성동지인 줄리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두 연인은 당에서는 성욕을 금지하며 죄악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의 본성에 충실하며 매번 사랑을 나눈다. 그러던 도중 당에 거역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형제단'의 존재를 알게 되어 그곳에 가입하게 되지만, 사상경찰의 함정에 빠져 모된 고문을 받게 된다.
감옥에서도 그는 육체는 고통을 받고, 모든것을 자백할지언정 마음만은 자신의 사랑과 믿음을 배신하지 않겠다고 맹세하지만, 이 모든것들은 끔직한 고통과 공포앞에서 굴복하고 마는 과정에 불과하다. 결국 그는 거대한 전체주의 사회에서 개인으로 체제에 저항하지만, 힘없이 굴복하고 마는 개인의 약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1984년도에 살고 있지는 않을까?>
현재 2013년은 어떠한 통제로부터 자유로운 민주주의 시대다. 국민 모두는 각자의 표헌의 자유가 있으며, 그것이 힘을 발휘하는 때는 5년 주기의 대선이다. 지금은 1984년이 아니다. 하지만, 여론을 조작하기 위한 움직임들은 1984년의 모습과 다를바 없다. 자신들의 정치집단, 기업이익을 위해서 여론을 조작하고, 악의적인 루머를 퍼트리는 모습들, 그리고 비판적 사고없이 조작된 언론의 모든 부분을 받아드리는 우매한 국민들의 모습은 1984년과 크게 다를바가 없다. 이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부분은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심이다. 과연 이것이 진실일까, 언론이 100% 옳을까에 대한 의심을 함으로써 개인의 힘이 시작되며, 그것이 집결되었을 때 공정한 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지오웰이 이 책을 집필한 시기는 1949년이라고 하지만, 그가 그린 사회의 추악한 모습은 시간이 지난 지금에도 경종을 울리는 고전문학이다.
<전체주의 대신 자본주의를 대입해본다.>
소설의 전체주의를 현대의 자본주의로 대입하면 어떨까? 빅 브라더는 거대자본이며, 우리들은 그들이 말하는 '자신들의 제품이 행복을 준다'는 메시지를 무의식적으로 받아드리게 된다. 일부는 저항하지만, 그것의 한계는 자명하다. 전 세계의 작은것이 아름다운 운동들이 이런 자본주의의 잔혹성을 조금이나마 견제하는 도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