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생에 꼭 한 번은 들어야 할 명강 - 불확실한 시대, 지성에게 길을 묻다
송호근.유홍준.정재승 외 지음 / 블루엘리펀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최재천, 유홍준, 정재승, 김지하 등 의 이름만으로도 무게감을 주는 이시대의 지성인들의 강의는 깊이가 있다. 다양한 분야의 강연은 평소 관심 있었던 주에에 대해서는 사고의 깊이를 더할 것이며, 익숙 하지 않았던 분야에서는 생각의 통섭을 경험토록 도와줄 것이다. 지식의 깊이를 높이고 삶의 지혜를 더해줄 이시대의 명강을 추천하고 싶다. 인문학적 소양이 재조명되는 현 시점에서 꼭 한번쯤은 들어보면 좋을 지성인들의 강의라고 생각한다. (단, 모든 강의가 정말 명강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강의를 듣는것처럼 집중해서 펜을 들고, 이해한 부분을 정리하며 읽으면 더욱 좋을것 같다. 특히 최재천 교수가 이야기한 one page proposal 처럼 강의나 리뷰를 한장의 종이에 정리를 하면 내 삶의 지양분이 될 책이 될것이라 믿는다. 다양한 주제에서 지성인들의 강의를 읽고 있노라면, ‘아~’ 소리내어 감탄하기도 하며, 생각의 통섭에 스스로 만족해하며 웃는다. 그럼 이제 책의 내용을 짧게나마 정리해보자.
-----------------------------------------
유홍준 - 다시 장인 정신을 말한다.
“명품은 장인이 만들지만 문화는 소비자가 만든다.”
진정한 장인 정신은 detail 까지도 신경 쓰는 혼을 담은 마음이다. 끝까지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갖고 책임을 지는 자세가 바로 진정한 장인정신의 기본이다. 하지만 이런 장인들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예술보다는 기술이 시대를 지배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자세는 장인과 그의 작품이 제대로 인정받는 사회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장인들에게 일 똑바로 하라고 다그치는 것이 아닌 소비자가 진정한 명품을 높은 가격으로 사주어 인정해줘야 한다. 결국 장인을 만드는 것은 장인 정신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소비자의 몫이다.
정재승 – 창의적인 리더의 뇌에서 배운다
“언제까지 남의 지도만 기웃거릴 것인가? 스스로 인생 지도 그리는 법을 배워라”
혁신은 엉뚱한 곳에 있다. 취미와 일을 융합하여 삶에 적용하자 (진중권 – 정재승 크로스)
혁신은 메타포를 만드는 것이다. (A는 B이다. 등의 은유)
창의적인 행동을 위한 방법 (예시)
- 전혀 연관 없는 다섯권의 책을 선정하고 그것으로 글을 쓴다.
- 일상적이지 않은 공간에 방문한다. EX) 수도원, 성당
-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우리는 각자의 인생 지도를 그려야 한다. 길을 잃어본 사람만이 지도를 그릴 수 있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직접 부딪쳐가며 나만의 인생 지도를 개척해봐야 한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 다른 사람의 지도를 기웃거리는 피동적인 사람이 되길 원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다양한 경험을 하고, 사람을 만나고, 책을 읽어서 견문을 넓혀라, 너의 인생지도를 만들 준비를 하고, 그 발걸음은 스스로가 시작해야 한다.
최재천 – 대한문국의 꿈과 지식의 통섭
“한 우물만 파는 시대는 지났다. 지식의 통섭을 통해 나만의 영역을 넓혀라”
하청업에는 미래가 없다.
아바타를 만든 cg의 핵심은 한국인이다. 하지만 그것은 스토리를 만드는 본질적인 움직임에는 미치지 못한다. 하청은 하청일 뿐이다. 인문학적 성장을 통해 본질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학문의 담을 낮춰라.
우리는 전공을 배운다. 그것은 기회인 동시에 단절이다. 자신만의 영역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통섭을 통해 자신을 발전해가야 한다.
글쓰기는 완성이다
모든 지식의 완성은 글쓰기다. One page proposal 처럼 자신의 생각을 짧은 글에 전달할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을 길러야 한다.
폭넓게 알아두고, 새롭게 도전하자
도정일 - 문명과 야만의 차이
"한 문명의 성패를 좌우하는 힘은 문명적 자산이고 문명의 가장 큰 자산은 관용이다."
문명과 야만의 가장 큰 차이는 관용이다. 무력으로 상대방을 억압하는 것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고 그것을 받아드리는 태도인 관용은 이시대 문명에 가장 필요한 가치다.
우리는 인문학적인 생각으로 다가올 문명을 생각해봐야 한다. 그것은 상상하기의 개념이 아니라 지난 과거를 성찰하고, 점검하여 다가올 생산적인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다.
인문학적인 관점은 특정 입장이나 이데올로기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자세다. 어느 하늘에 살건 인간의 품위를 높이고 그의 삶을 의미있게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사유하고 탐색하는 일이다. 우리는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문명에 대한 책임을 느끼며 그것을 성찰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야만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다짐이 바로 문명에 대한 올바른 자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