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빅터 -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레이먼드 조 지음, 박형동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17년 동안 자신이 바보라고 생각하며 살아왔던 바보 빅터. 

자신의 낮은 IQ와 말더듬 거리는 행동으로 인해 바보라는 놀림을 받는 그는 자신의 한계를 만들어 그 안에서 살아간다.  그리고 또 다른 주인공 빅터의 초등학교 동창 로라. 그녀는 어렸을때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못난이라고 들어왔던 어릴적 기억으로 인해, 외모에 대한 부끄러움으로 인해 매사에 자신감 없는 태도로 살아간다. 

이 두사람의 공통점은 다른 사람의 평가로 인해 자기 자신의 한계를 단정짓고 살아간다는 점이다. 한계점에 자신을 속박하고, 한계에 순응하며 세상에서 수동적으로 살아온 두 주인공은 빅터의 천재적인 재능을 알게된 애프리의 회장의 입사 테스트 문제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그들의 도전과 내적 성장은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게 만든다.

“자기 믿음이란 자신의 생각과 자신의 직관,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는 걸 말하지. Be yourself”


“자네가 아무리 세상의 기준과 다른 길을 가고 있더라도, 자네 스스로 자신을 믿는다면 누군가는 알아줄 거야. 내가 이렇게 자네의 가능성을 발견한 것처럼 말이지. 하지만 반대로 자네가 자신을 믿지 못한다면, 그 누구도 자넬 믿어주지 않을 걸세”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분명하다.


Be yourself



선생님의 잘못된 IQ 통지로 인해 평생 자신이 바보라고 생각하며 한계를 지우고 살아왔을 바보 빅터. 부모님의 못난이라는 말로 인해 자신의 외모에 컴플렉스를 가지며 매사에 자신감 없는 태도로 살아온 로라. 어쩌면 무의식중에 생긴 컴플렉스로 자신의 한계를 단정짓는 우리의 모습도 그들의 과거와 크게 다를바 없을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자기 믿음을 갖는 것이며, 한계점을 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기 보다는 자기 자신을 믿으며 꿈을 향해 살아가는 것. 그것이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이라 생각한다.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는 것. 자기 자신을 믿는 것. 무엇보다도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 그것이 보다 나은 내 삶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이 아닐까?


‘마시멜로 이야기’ ‘피라냐 이야기’ 등의 소설을 읽을 때처럼 쉽게 읽히면서 동시에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교훈이 정확히 전달되었다. 이 책의 장점은
어린아이를 비롯한 모든 사람에게 주제를 쉽고, 간결하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반면, 어렵지 않은 내용인 만큼 쉽게 잊혀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다음과 같은 책을 읽을 때에는 리뷰를 통해 자신이 느낀 점과 인상깊었던 구절등을 기록해 놓는 습관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특히, 아이들에게 추천해주고 독후감 쓰는 것을 제안해 본다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