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쫓는 아이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주인공인 아프가니스탄 소년 아마르가 성장하며 독자도 함께 성숙하게되는 소설.

 


뛰어난 구성의 소설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감정적인 접근을 호소하는 구성이  뛰어난 문학작품.


부유했던 집의 외동아들인 아마르는 그 집의 충직한 하인 하산과 유년기의 대부분을 함께 한다. 그들은 둘도 없는 친구로 언제나 함께하고, 특히 아프가니스탄의 전통인 ‘연날리기’ ‘연 쫒기’ 등을 함께한다. 하지만, 아마르에게는 평생 죄책감이 생기게 만든 사건이 발생한다. 그는 그의 하인인 동시에 최고의 친구였던 하산이 성폭행 당하는 것을 보고도 평소에 겁이 많았던 아마라는 무서움에 도망쳐버린다. 아마르 이 사건 이후로 하산을 볼때마다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에 고통을 겪는다. 그는 하산을 보지 않으면 자신을 집요하게 따라다니는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그를 도둑으로 모함하여 결과적으로 내쫒는 결과를 만든다. 하인이자 최고의 친구였던 하산과 그의 아버지를. 마치 가족과 같았던 사람들을 떠나게 만들었다.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으로 인해 바바(아버지)와 미국에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된 아마르는 대학에서 소설을 전공하고, 아픈 과거가 있지만 따듯함을 가진 여자와 결혼한다. 아마르의 용기없는 행동들은 트라우마가 되었지만 일상 생활속에 적응하며 하산의 존재를 잊어간다.
그러던 어느날 아버지의 절친한 벗이 위급하다는  소식을 알게 되고, 파키스탄으로 가게 된다. 그는 이 곳에서 자신의 어린시절의 감춰진 사실을 듣게 되고, 소설은 제2의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다,




성장소설이며 동시에 극적인 모험을 가진 소설이다. 어린시절 자신의 옳지못한 행동이 트라우마가 되어 따라다니는 주인공 아미르. 그가 이와 같이 성장하며 이를 극복하는 사건의 전개를 통해 독자도 자신의 경우에 대입시켜볼 수 있고, 소설속 주인공 아미르와 함께 독자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감정적인 접근을 호소한 문학 작품이다. 수니파 이슬람교도인 파쉬툰인과 아프가니스탄 사회에서 억압받고 있는 소수의 시아파 이슬람교도인 하자리인의 갈등, 그들의 슬픈 역사적 사실을 소설을 통해 알게 되었다. 또한, 책을 통해 9.11 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차별과 모욕, 차가운 시선들로 부터 인간적인 관심을 촉구한다.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을 단지 미국을 공격하는 탈레반 테러리스트가 아닌 감정을 가진, 하나의 슬픈 역사를 가진 같은 인간으로 바라봐달라고 호소한다. 개인적으로는 소설을 본 사람들은 최소한의 감정이 생길 것이라 생각한다.
이민자 1세대의 입장에서 아프가니스탄의 역사를 알고 있는 동시에, 가슴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소설이기에 저자는 심혈을 기울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아미르-하산의 관계, 하산의 충성심, 아프가니스탄 전통풍습인 연싸움, 그것을 찾아 달리는 어린아이들의 모습 등의 감성적인 소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는 소설을 만들었다.


소설에는 교훈이 있다.미르 의 아버지는 아프가니스탄의 전형적인 의리있는 남자를 보여준다. 진솔한 사람으로 그의 언행에 거짓이 없는 그의 한마디 한마디는 여느 위인전, 명언집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을 만큼의 훌륭함을 가진다. 마치 인물 평전을 소설처럼 구성하여 독자에게 친근하게 접근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신도 버린 사람들’의 소누(남편)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  바바의 가치관이 가득 담긴 대화, 표현은 곱씹을 수 있을정도의 힘을 가졌고, 문장에 밑줄을 쳐가며 읽은 부분은 셀 수 없을 만큼 많았다.

또한, 하산의 충정심은 현재 우리가 잊고 지냈던 진정한 의리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작은 답변을 준다. 더불어 아미르의 비겁한 행동,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들은 독자들에게도 비슷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아미르의 여정은 나를 몰입하게 만들었다. 하산의 충정심, 바바의 굳은 언행은 충분히 교훈적이었다.  더불어 소설은 내게 아프가니스탄에 대해 조금이나마 인간적인 감정을 느끼고, 개개인의 역사는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형성했다.

 
이 책은 ‘재미’, ‘교훈’, ‘감동’ 3가지를 모두 겸비한 소설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