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에게 들려주는 매일 심리학 - 아이의 지성, 사회성, 인성을 키우는 30가지 심리 이야기
이동귀 지음 / 니들북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셋 증후군

인터넷 이용 시간을 줄어야 해. 아무리 오래 해도 하루에 4시간 이상은 게임을 하지 않도록 노력해보자.'몇 시까지 해야지.'하고 시간을 정해놓거나 '거실에서만 하고 방에서는 하지 말아야지'학 공간을 정해두년 스스로 약속을 지키기가 쉬울꺼야. 우리의 기억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거지.

보상보다 나의 즐거움을 위하 일을 하렴(내재적 동기)

'접근 목표'는 성적 올리기, 시험 합격 등 긍정적인 결과를 목표로 삼는 걸 말하고, '회피 목표'는 성적 떨어뜨리지 않기, 시험에서 탈락하지 않기와 같이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려는 걸 말해. 그럼 어떤 목표를 세웠을 때 더 성과가 좋을까?

보상VS즐거움

외재적 동기는 칭찬이나 보상을 받기 위한 거고, 목표 자체와는 관련이 적지. 반면, 보상이 없어도 목표 자체를 위해 노력하는 건 '내재적 동기'가 작동한 거야.자신의 흥미나 즐거움, 만족감을 위해 행동하는 거지.

목표를 달성하고 싶다면 먼저 계획을 세워봐

계획은 구체적으로, 그리고 플랜 B까지

구체적인 수행 계획이 있었을 땐 84%의 목표 달성률을 보인 거야.구체적인 계획이 있을 때 달성률이 조금 더 높았던 거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두년 쉬운 목표건 어려운 목표건 달성률이 높고,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일수록 그 효과가 크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 앞으로는 목표로 하는 일이 생겼을 때 이 질문을 참고해서 구체적 계획을 세워봐.큰 목표가 아니라도 좋아.작은 목표부터 시작해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성공하다 보면 자신감도 하나, 둘 쌓이기 시작할 테니까.

참을성을 키우려면

자기조절력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화가 나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강하게 느끼는 순간에 더욱 필요해.화가 난다고 기분대로 바로 행동해버리고 나면 나중에 후회할 일이 생기기 쉽거든. 

여러분이 이 '루빈의 컵'그림에 어떤 부분이 보이나요? 어느 부분에 집중하느냐

에 따라 한 번에 한 가지씩만 볼 수 있어.

함께 쓰는 것일수록 아껴 써야 해

우리 지구도 하나의 거대한 공공재일 수 있어. 아름다운 지구는 우리 모두의 자산이라는 걸 기억하고, 내 작은 행동 하나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어보렴.너의 배려와 양심적인 행동은 결국 너에게 더 큰 도움으로 돌아오게 되어 있어.

네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걸 잊지 마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어.차별 없이 조화롭게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해 우리 각자가 고정관념에 갇히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확증 편향에 휘둘리시 않으려면 모두 '내가 틀릴 수 있다.'라고 생각하면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단다.

작은 부탁을 들어준 사람은 더 큰 부탁도 득어줄 확률이 높아.흔쾌히 수락할 만한 간단한 부탁을 하면 이후에도 그 사람이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가능성이 커지는 거지.

오늘 너는 누구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니?만약 아직 도움을 주지 못했다면 주위에 친절한 인사를 건네는 것부더 시작해도 괜찮아.

언제든 곁에서 칭찬할 준비를 하고 있을께

무엇이든 애쓰는 과정의 소중함과 의미를 알면 더 오래 더 즐겁게 할 수 있을 거야.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