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아딕투스 - 알고리즘을 설계한 신인류의 탄생
김병규 지음 / 다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째가 코로나 확진이 된 지난 주 월요일, 아이를 돌보며 집콕을 하던 나는 인터넷 쇼핑에 많은 시간을 들인다. 내 핸드폰 케이스가 너무 지저분해 보이고, 케이스를 사니 그립톡도 사야 하고.....카드 수납이 되는 크로스 핸드폰 케이스도 갖고 싶고......그렇게 물욕이 폭발하던 와중에 만나게 된 연세대 경영학과 김병규 교수님의 '호모 아딕투스'. 나는 빅테크 기억의 마케팅에 의해 돈을 쓰면서, 내 의지라고 착각하고 있었다.

p.23

빅테크 기업이 의도한 대로 디지털 기기에 과도한 시간을 쏟고, 자신에게 꼭 필요하지도 않은 것에 많은 돈을 쓰면서도 이 모든 것이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라고 착각합니다.

실험용 쥐의 전기 스위치같이 언제든 우리의 보상회로를 자극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 손에 쥐어진 '스마트폰'이다. 그래서 더욱 쉽게 우리는 중독에 빠지고 만다. 이 책의 제목 '호모 아딕투스'는 중독되는 인간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앱에 중독된 시대. 지금 사람들의 모습을 지칭하는 말을 만든다면 가장 적합한 표현은 '호모 아딕투스(Homo addictus)'(p.46)일 것이다.

또, 소비가 쉬워진 이유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p.132

돈은 사람의 소유물입니다. 그래서 돈을 쓸 때 뇌는 고통을 느낍니다. 특히 자신이 힘들게 노력해서 번 돈일수록 그것을 쓸 때 더 큰 고통을 느낍니다. 소비할 때 고통을 느끼는 일은 소비자에게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소비하기 전에 자신이 쓰는 돈의 가치를 한 번 더 고민하게 만드니까요. 지출의 고통 덕분에 사람들은 좀 더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신용카드 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 결제가 너무나도 쉬워졌다. 나 역시 그렇게 결제를 하고 있다. '더 이상 지출이 고통스럽지 않은 시대, 이것이 중독경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p.135)라는 작가의 말이 깊이 와닿았다.

'4부 중독 인류를 위한 슬기로운 번영의 기술'에서 내가 실천할 두 가지를 발견했다. 첫 번째는 나쁜 중독이 아닌 좋은 중독을 찾아내는 것, 예를 들면 달리기와 글쓰기이다. 두 번째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에 의미를 부여하기이다. '사람들이 디지털 기기에 쉽게 중독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에 목적을 두지 않기 때문'이라는 작가의 말에 큰 공감을 했다.

'호모 아딕투스'는 스마트폰이 필수이자 일상이 되어버린 요즘 시대에 꼭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한다. 빅 테크 기업이 경제의 중심이 된 오늘날,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기 힘든, 이미 중독된 이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호모아딕투스 #김병규 #다산북스 #다모임 #빅테크기업 #중독경제 #스마트폰 #보상회로 #중독

*다산북스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