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가 시리즈 7
제러미 시프먼 지음, 김형수 옮김 / 포노(PHONO)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고전 음악하면 떠오르는 이름 중에 차이콥스키는 빠질 수 없는 이름이다. 그만큼 그의 음악은 오랜 세월 동안 사랑 받아왔고 영향력 또한 크다. 그래서인지 고전 음악에 그다지 조예가 없는 나도 차이콥스키 음악은 꽤 들어왔다. 들으면서 늘 느꼈던 것은 스케일이 크고 웅장하고 그리고 왠지 어둡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깨달은 것이, 그 느낌이 단순히 차이콥스키의 음악적 색깔만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일단 그가 러시아 사람이라는 것이 그런 느낌을 가지게 했던 것 같다. 왠지 러시아하면 어둡고 춥고 삭막하고 광활한 벌판이 떠오르는데, 그런 이미지가 음악에 색깔을 입혔던 것 같다. 또 한가지는 러시아 문학. 러시아 문학이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이고 심오한 깊이가 있다보니 그 또한 영향이 있었을 것 같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내가 아는 차이콥스키와 그의 음악은 선입견으로 점철되어진 왜곡된 모습이었던 결론이다. 

  일단 차이콥스키는 어둡기만한 성격이 아니었다. 물론 그를 평생 괴롭혔던 신경쇠약 증세나 우울증이 있기는 했지만 사람들과의 만남을 즐겼고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의 매력에 사로잡히게 할만큼의 끼도 충분히 가진 사람이었다.  

 어린 시절, 지나치게 예민해서 일상적으로 넘길 수 있는 일들도 그에게는 상처가 되고 히스테리를 일으키기도 했다지만 어쩌면 그것은 일반인들에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감수성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다.  아주 작고 미미한 것들 조차 감지할 수 있는 능력. 그것들을 감당하기에는 아직 너무 어린탓에 그런저런 나약하고 히스테리한 모습들이 표출되어진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가 부모 형제와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했던 모습은 그가 따뜻하고 사랑스런 사람임을 나타내는 것이리라. 

 이 책을 읽으면서 내게 작은 충격을 주었던 내용은 차이콥스키의 동성애 기질이었다. 사실 고대로 부터 예술가들 중에는 동성애에 빠졌던 인물들이 적지않다. 하지만 앞서 말한 나의 선입견으로 보자면 차이콥스키는 왠지 군인이나 성직자 같은 강인하고 엄격한 기질이 더 가깝게 느껴졌었는데 생각지도 못한 그의 취향은 조금 당혹스러웠다. 그러나 그것이 지금에 와서 왈가왈부할 소재는 될 수 없을 것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이니만큼  그저 차이콥스키에 대해 모르던 부분을 알게 된 것으로 마무리하는게 옳을 듯 싶다. 

  그가 동성애적인 기질이 있었다지만 치를 떨며 불행하게 끝난 안토니아와의 결혼생활도 해봤고 예술사상 가장 '기이한 사랑'이라고 일컬어지는 폰 메크 부인과의, 오로지 편지로만 이루어졌던 사랑도 했던 차이콥스키.  그는 보통 사람으로 살길 원했고 그러지 못하는 자신에 대해 고뇌도 많았지만 그의 타고난 예술가적 기질을 뿌리칠 수는 없었던 것 같다.

 차이콥스키의 삶을 안다는건 그의 음악을 들으면서 좀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삶이 평범하지 않았던 것처럼 그의 음악도 평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어 기쁘다. 극한의 고통이나 삶에 찌들어 있을 때도  그는 극과 극인 작품을 쓰는 재주가 있었다. 극적으로 과장된 '프란체스카 다리미니'를 쓰면서도 가벼운 '로코코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썼듯이 말이다. 흔히들 작품은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고 하지만 차이코프스키는 그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능력자였음을 나타내는 일면이 아닐까 싶다. 

 요즘 내 자동차에서는 차이콥스키의 선율이 흐른다. 책에 부록으로 들어있던 CD 2장이 그 주인공이다. 지금까지 알려진바로는  차이콥스키가  동성애에 대한 고민 끝에 자살을 했다는 설이 지배적이었지만 이 책에 의하면 콜레라에 의한 자연사에 더 무게가 실린다고 한다. 그가 어떤 형식으로 죽음을 맞이했건 우리에게 남겨준 음악들만으로도 그는 위대하다.  

 그는 분명 평범한 사람은 아니었다. 그의 성격도 결코 평범하지 않았다. 돈에 대한 가치관도 약해서 때로는 무분별하게 낭비를 일삼기도 했다. 싫고 좋음이 지나치게 분명해서  변덕쟁이의 인상도 강하게 남겼다. 하지만 그뿐이다. 차이콥스키는 지금 없고 그가 남긴 음악만이 우리 곁에 있을 뿐이다. 그의 음악에 대해서도 혹자는 혹평을 서슴치 않았지만 그것은 그 평론가의 느낌일 뿐이다. 내가 들었을때 혹평에 긍정적인 표를 던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 모든 것이 이제 우리 손에 있고 옳고 그름을 떠나 다만, 즐길 줄 아는 우리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