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밸류 - 초저평가주 투자법
토비아스 칼라일 지음, 김인정 옮김 / 이레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딥 밸류

토비야스 칼라일 지음 / 김인정 옮김

딥 밸류 주식에 투자하면 어떤 성과가 나타나는지, 왜 그런성과가 나타나는지를 아주 자세하게 설명한 책이다. 수많은 Back Data 와 투자 구루들의 설명을 곁들여 설득력을 한층 높인 책이다. 이 책을 따라하여 딥 밸류 주식에 투자하면 좋은 성과를 이룰것이지만, 책에서도 강조하듯이 이러한 투자는 직관에 반하는 것이라서 확신이 생기지 않으면 많은 사람이 따라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사실 나도 이 책을 읽는 동안에 계속 의심이 들었다. 보잘 것 없고 정체된 이익의 회사가 어떻게 훌륭한 수익율을 가져다 줄 수 있단 말인가? 이익이 성장하고 인기있는 회사에 투자해야 높은 수익율을 가져다 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하면서 책을 읽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지 라는 의심을 품으면서 읽어가다 보면 평균회귀, 행동주의 라는 이유로 훌륭한 성과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확신하게 된다.

투자의 성과는 확신의 정도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고 생각한다. 어렴풋하게 머리속으로 이해하고 투자 하는 것이랑, 뼈속깊이 체감하여 확신을 가지고 하는 투자랑은 많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왜 딥 밸류 주식에 투자하면 훌륭한 성과가 나타나는지를 독자가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정량적인 Back Data와 정성적인 구루들의 설명을 곁들여 아주 충분하게 설명을 잘 하고 있다. 이 책을 곱씹어 읽고 딥 밸류주식에 확신을 갖는 투자자가 된다면 훌륭한 투자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평균회귀와 행동주의다. 딥 밸류 주식이 아주 훌륭한 성과가 나는 근본 적인 이유로 이 두가지를 들고 있다.

이익이 감소하고 크게 저평가 되어 있는 회사는 평균회귀가 작동하여 큰 수익을 제공하지만, 이익이 크게 증가하는 회사는 몰려드는 경쟁자들로 인해 높은 이익을 잠식당하는 평균회귀가 작동하여 큰 수익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딥밸류 회사에는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가세하여 회사의 내재가치에 도달하게끔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하므로 큰 수익을 제공한다.

딥밸류 주식의 반대편에 있는 투자가 워런버핏식의 투자일 것이다. 경제적 해자가 강력하여 평균회귀가 작동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는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회사는 아주 드물거니와, 버핏처럼 비범하지 못한 거의 대다수의 투자자가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투자법인듯 하다.

버핏식의 투자법이 어찌보면 직관적으로 볼때 투자스러운, 투자와 유사하게 비쳐지는 투자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해자가 있는지, 이익이 얼마가 강력한지, 이익성장이 얼마나 나타날지에 몰두하여 투자 할 회사를 고르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버핏의 통찰력을 가지기 전까지는 훌륭한 성과를 거두기 힘들 듯 하다. 나를 포함한 대 다수의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이 책에서 강조하는 딥 밸류 주식에 투자하는 게 더 나은 대안인 듯 하다. 평균 회귀를 무력화하는 경제적 해자를 찾을 수 있는 버핏과 벙거의 통찰력을 갖지 못하는 대 다수 투자자에게 필요한 책이 아닐까 한다.

책을 보며 기억에 남는 구절들을 기록해 본다.

- 분명한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가격과 가치 사이의 할인 폭이 좁아지는 것은 평균회귀 현상이다. 이것이 딥 밸류 투자의 근본 원리이다.

- 1976 년 벤자민 그레이엄이 사망하기 몇달전 파이낸셜 애널리스트 저널과 했던 인터뷰를 옮긴 기사였는데, 인터뷰에서 그레이엄은 "나는 뛰어난 가치투자 기회를 찾기 위한 정교한 분석에 더 이상 매달리지 않습니다. 몇가지 기법과 간단한 원칙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 버핏의 전략의 핵심은 기업이 평균으로 회귀하지 않고 뛰어난 ROIC를 지속적으로 달성한다는 데 베팅하는것이다.

- 운은 우연적이고 무작위적이며 산발적이고 그 영향은 오로지 단기에 그친다. 장기적으로 보면 운의 역할은 줄어들고 실력의 영향이 더욱 뚜렷해진다.

- 시장과 국가에 대한 투자의 수익을 결정하는 것은 경제 성장이 아닌 밸류에이션이다.

- 라코니쇼크 등은 순진한 외삽추론의 본질에 대해, 투자자들이 과거 성장과 결부시켜 미래 성장을 기대하기 때문에 인기주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마찬가지 이유로 가치주를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전망한다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 의장 : "한 가지 질문만 더 하고 마치겠습니다.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린다고 합시다. 예를 들어 30 달러 가치가 있는 주식을 10 달러에 살 수 있고 그래서 그걸 샀다고 합시다. 하지만 그 주식이 30 달러 가차가 있다고 많은 사람이 판단하기 전까지 그 가치를실현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어떤 과정을 거칩니까? 광고를 한다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

벤저민 그레이엄 : 그 점이 바로 우리 사업의 미스터리 중의 하나이고 다른 사람들 처럼 제게도 풀리지 않는 문제 입니다. 제 경험으로 볼 때 시장은 결국 어떤식으로든 그 가치가 실현 됩니다.

- 그레이엄이 작은 포지션을 여럿취해 투자를 분산한 반면 버핏은 최선의 전략 하나에 집중했다.

- 기업이 평균회귀에 저항하고 정상 이상의 ROIC 를 지속할 수 있는지 여부는 경쟁우위에 달려 있다.

- 지속가능한 높은 ROIC 를 기록하는 기업의 경우, 모부신은 그처럼 지속가능한 수익율 이면에 어떤 요인이 있었는지 사전에 파악할 수 없었다. 즉, 어떤 기업이 높은 ROIC 를 유지하고, 어떤기업이 평균으로 회귀할지 예측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서평 이벤트에 당첨되어 기록한 서평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