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파라다이스
강지영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장르문학? 난 딱히 장르문학이 무엇을 일컫는 말인지도 잘 모른다. 뭐 최근에 짧은 기담한편을 읽었는데 장르문학이라고 분류해 놓았기에 기담이나 추리소설이 장르문학이라고 일컬어지나보다 생각했을 정도. 각설하고, 사는 게 고단하다 보니 조금은 따끈따끈하고 말랑거리는 소설을 읽고 싶었다. 개인적 희망사항이지만. 해서 열 개의 단편 중 처음에 등장하는 '그녀의 거짓말'을 읽기 시작했을 때 시간이 무척 오래 걸렸다. 솔직히 '계속 읽어야 되나'를 고민했을 정도.
우선 낯설고 불편했다. 어떤 시야와 속도, 어떠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이 단편집을 대해야 할지 전혀 모르겠더라는. 늘 읽던 스타일의 책이야 그런 셋팅이 없이도 그냥 마음 편히 죽죽 읽어내려하면 되니, 딱히 무슨 마음가짐씩이나 설정이 필요할까만은 <굿바이 파라다이스>에선 '끔찍한 살인'과 '변태적 성관계'같은 것이 뭐 물마시듯 등장하니 흠, 잠시 고민의 기로에 섰을 정도다.
주인공 '나(여자)'는 에프킬라로 사람을 죽인다. 잠시 후 죽인 줄 알았던 남자들은 실은 여자가 죽였다고 착각했을 뿐 죽은게 아니라서 다시 살아난다. 그러다 주인공 여자가 또 다른 제3의 인물 남자에게 살해당하고 여자는 드라마 고스트위스퍼러 마냥 죽은 자신의 몸뚱이와 자신의 시체를 대하는 남편의 행동을 바라본다. 게다가 이미 시체가 된 주인공 여잔 뒷부분에 가서 갑자기 '난 사실 남자였다' 고 고백을 하니 읽던 독자 대략난감이다.
초반에 페이지가 너무 안넘어가, 우선 이 책에 대한 편견 혹은 불편함 버리기가 나 스스로에게 숙제처럼 주어졌다. 몰입하지 못할바에 차라리 완전히 낯선이가 되어 그저 바라보자!
그리하여 두번 째 등장한 단편 <벌집에는 벌이 살지 않는다>. 이 단편은 참 질박하다. 베니어판이 벽을 대신하는 벌집, 애초부터 방음이란 불가능해 각자가 나란히 자신의 방에 누워서 대화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그곳에서 벌어지는 짧은 해프닝을 그리고 있다. <벌집에는 ...>은 현실보다 더 생의 밑바닥에 발을 내딛고 있는 꺼끌꺼끌하고 목이 매는 그런 슬픈 인간상들을 그리고 있다.
<벌집에는 벌이 살지 않는다> 를 읽고나서부터는 책을 읽는 호흡이 짧아졌다. 마음보다 눈이 먼저 소설에 익은 건지 첫 단편을 힘겹게 읽었던 것에 비해 그 다음부턴 스피디하게 책 한권을 금새 다 읽을 수 있었다.
재밌다거나 감동적이었다거나 그런 통상적이고 평범한 감상은 절대 기대하지 마시라. 그저 소설의 중반을 넘어갈 수록 '죽음' '살인' '엽기' '변태' '섹스' 에 넘 무감각해지고 그저 줄거리를 쫓아 빠른 속도로 책을 읽어가는 독자 자신의 변화가 낯설지만 색다르게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소수자'들의 슬픔같은 것도 엿보인다. 잔인한 장면들이 하도 많이 등장해 일일이 다 열거하기도 힘들다. 그런 부분들을 어떤 포장으로 미화시킬 수는 없겠지만, 그저 있는 그대로 주인공들의 내면을 따라가다 보면, 각 이야기들이 '죽음'에 대한 외면할 수 없는 나름의 서사를 지니고 있음을 을 느끼게 된다. 그 점이 이 소설의 매력이기도 하다.
비위가 다소 약한 사람이라면 (특히 임산부, 노약자) 절대 읽지 마시길. 그렇지 않고 평범한 소설이 식상하다 느껴지는 독자에겐 강력추천이다. 처음엔 익숙치 않아 눈살을 찌뿌렸던 나도 작가의 다음 소설이 은근 궁금해지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