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마음을 여는 엄마의 100가지 질문 - 거부당하지 않고 아이의 세상에 다가서는 대화의 기술
울리케 되프너 지음, 이지혜 옮김 / 로그인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음_울리케 되프너
옮김_이지혜

4~12세 엄마 아빠의 필독서🔖
독일 아마존 자녀교육 화제의 책📔

아이의 세상을 여는 100개의 특별한 질문이 담겨있어요. 

아이와 대화를 하다보면
아마 자신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지 않는것 같아서 
이야기를 중단할때가 종종있어요.
분명히 잘듣고 있었는데 말이죠.
설겆이를 하거나 집안 일을 하고 있는데
 아이가 와서 오늘 하루 이야기를 한다면
귀로는 듣고 있지만 다른 행동을 하고 있으니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요즘은 집안 일을 하더라도 중단하고 
아이의 이야기에 집중할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1장_ 아이와의 대화를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 
2장_ 아이 마음에 다가서는 법,
3장_ 아이의 세상을 여는 100가지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부모가 친절한 태도로 사람들을 대하고, 
인사를 건네고, 자신을 소개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는 나도 저렇게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자녀들에게 설명한 규칙과 
부모의 행동이 일치하는 것이다. 
부모가 스스로 새기고 있는 규율을 가르칠 때 
아이들은 그 행동을 본받을 가능성이 크다.
(1장 부모가 가르쳐주는 진정 어린 대화법) 중에서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함으로써 아이의 
마음 깊은 곳에 숨어있는 감정까지
다 알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들은 부모에게 말하지 못한 고민등을
친한친구에게 털어 놓을 때가 많은 것 같아요.
그런데 그마저 그렇게 되지 않을 때
혼자서 고민해야한다면
얼마나 속상할까요?
우리 아들도 이야기를 할 때는 술술할때도 있어요.
하지만 자신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엄마, 아빠의 반응에 따라서
다음번에 이야기하는 횟수가 줄어들더라구요.

회피하는 아이의 태도를 자신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지 않고 혼자 있고 싶은 욕구로 이해하는 
부모에게서는 수용하는 태도와 애정이 묻어난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는 아이가 꺼리는 대화를 억지로 시도하는 것보다 훨씬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 
다만 아이가 대화를 하고 싶어 하지 않더라도 아이와의 연결고리는 유지해야 한다.
보드게임이나 산책을 제안하는 것도 방법이다.
 굳이 아이의 고민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부모가 관심을 품고 있으며 곁에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2장 아이가 입을 닫아 버릴 때) 중에서

부모가 기대하는 모습이 아닌 있는 그대로 아이를 사랑한다는 느낌을 줄 때 아이의 자존감이 자라난다고 해요.
대화를 싫어하는 아이는 없어요.
이 책을 지으신 작가님은
아동과 청소년의 마음을 돌보는 심리치료사이자 
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 
오랜 상담 경험과 육아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가 이야기를 할 때 우리가 할 일은 귀기울여주는 것뿐이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어요.

아이의 세상을 여는 100가지 질문 중에
"네가 마법사라면 어떤 마법의 힘을 갖고 싶니?"를
우리 아이에게  물어보았어요.
하하하😁대답은 비밀로 하고 싶어요.
아직 휴대전화가 없는 아들이라...
그 다음은 아시겠죠?
책을 읽고 나서 아이와 좀 더 편안한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게 된거 같아요.
우리 아이와의 긍정적인 대화와 함께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자라게 해주기 위해
더 노력하는 부모가 되어야 겠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