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종석의 문장 2 -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ㅣ 한국어 글쓰기 강좌 2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9월
평점 :
고종석의 문장 두 번째가 출판되었다. 1권에서 "글은 왜 쓰는가"가 중심 화두였다면 2권은 '좋은 글이란 무엇인가'이다. 고종석은 이
질문을 청중들에게 던지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사실 좋은 글이란 어떤 것인지 사람마다 생각은 다르다. 난 이렇게 정의하고 싶다. 기억에 남는
것.
저자는 김현의 글을 예로 들어 좋은 글을 설명했지만 철학적이라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내가 만약 강연자라면 이태준의 글을 예로 들어
설명했을 것이다. 물론 이태준도 한자어가 많아 요즘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전체적인 형식은 1권의 내용과 같다. 글을 쓰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각하겠지만 과연 어떤 것을 빼고 넣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다. 아마
이 서평도 저자가 보기엔 너무 많은 군더더기를 가진 글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하다. 저자는 자신이 쓴 글을 예로 들어가면서 문장
속에서 다듬어야 할 내용들을 설명한다. 이를테면 "동어 반복을 피하라' '~이라는, ~가운데 같은 것은 제외하라" 등 구체적 예시를 통해
설명하니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왜래어 표기법에 관한 내용이 흥미가 있었다. 사실 외래어가 통일되지 않으면 동일한 인물을 이야기해도 전혀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노신과 루쉰, 베드로와 피터 등 이런 예는 정말 많다. 심지어 나라나 도시 같은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가끔은 에스파냐와 스페인이 다른
나라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동일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물론 통일시킨다는 것이 정말 힘들겠지만 어느 정도는 표준화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자는 글쓰기의 최종적 단계로 은유와 환유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마무리를 한다. 개인적으로 조금 아쉬웠던 건 수사학에 대한 조금은 더 깊이
있는 내용을 기대했지만 아무래도 강연의 특성상 그러지 않았던 것 같다.
2권을 읽으니 저자는 시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한 것 같다는 느낌이다. 이 속에는 일반적 언어와는 다른 비유의 세계가 펼쳐지기
때문이란다. 이렇게 시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면서 그에 따른 좋은 시인과 시집은 서정주의 화사집 하나만 소개한 것은 안타까웠다. 조금 더 소개를 해
주었으면 어떨까 하는 마음이었다. 특히 50년대 이후에 시인 중에서 말이다. 문장이란 책을 읽었으니 이제 직접 문장을 만들어 볼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