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는 알아야하는 최소한의 경제법칙 -태지원 (스포주의)


이 정도는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경제법칙이라는 책 제목처럼 일상생활에서 적용되는 경제법칙들이 소개되어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광고 카피에까지 등장하게된 가성비라는 단어부터 낙수효과와 분수효과까지 다 한번씩은 어디서 들어본 것 같은데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는 경제법칙들을 각 상황에 맞는 예시를 들어가며, 쉽게 풀이하고 있다.

 

물론 설명은 쉽지만 생각보다 여러 용어들이 나와서 책을 다 읽고 나서도 기억에 남는 용어들은 몇 가지 밖에 없다. 책에 나온 다양한 용어들을 완전히 소화해낼려면 한 번 더 책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그 중에서도 기억에 남는 몇 가지를 이야기 해보자면, 첫번째는 베블런 효과이다.

 

한국에서 명품브랜드의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 샤넬은 샤테크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매번 가격을 올리고 있는데 그럼에도 판매율은 결코 떨어지지 않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가? 이는 베블런 효과 때문이라고 한다. 명품과 같은 과시적 소비를 보이는 상품은 가격이 올라도 구매력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가격이 오름에따라 구매력 또한 상승한다. 이런 베블런 효과로인해 명품브랜드에서는 소비자의 눈치를 보지않고 매번 가격을 올리고 있는거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기억에 남는 경제법칙은 필립스 곡선이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반비례한다는 뜻인데,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업률은 떨어지고, 물가상승률이 떨어지면 실업률은 올라간다. 그렇기에 현재 경기가 침체되어 실업률이 높아졌다면 정부는 소비와 생산을 활발하게 하는 쪽으로 정부 정책 방향을 잡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경기가 침체되자 정부에서 재난지원금을 주며 소비를 촉진시키고자했던게 이런 법칙에서 나온거라 생각된다. 

 
-------무단 복사 및 사용을 금지해 주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