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주식투자는 틀렸다 - 위기에도 흔들림 없는 자본가의 투자법
성세영 지음 / 길벗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주식투자는 틀렸다 성세영 저

2020년 처음 우리나라와 전세계에 코로나가 퍼지면서 많은 것들이 바뀌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주식 시장일 것입니다. 20203월 처음 겪어보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코스피는 1400대까지 하락하였고 우리나라 시장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겪어보는 대규모 하락이었습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은 과거 주식 시장에 대한 학습 효과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를 시작하였고 우리나라 시장은 3000포인트를 처음 돌파할 정도로 1년도 안돼서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개미로 대표되는 개인투자자들이 더욱 더 늘어나면서 코스피 지수는 3300이상 돌파하는 상승세를 보여주었지만 이후 미국의 금리 상승 이슈로 인해 지수가 지지부진하면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 투자자들의 잦은 매매 패턴으로 인해 손실을 겪는 경우도 많아서 한국주식 시장에 실망하고 미국 시장에 도전하지만 미국 시장에서도 같은 투자 패턴으로 많은 매매 수수료만 납부하고 손실을 경험하는 투자자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이러한 투자 방법과 패턴으로는 결코 투자에 성공하기 어렵다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강조하면서 ETF를 통한 지수 투자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지수는 한국 코스피 시장이 아닌 미국 S&P 500 지수 입니다. 이 지수는 미국 내 상장된 시가총액 500개 주식을 대상으로 한 지수 입니다. 이 안에 미국 내 유명 혁신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매년 1년에 한번 정기적으로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기업과 포함되지 않고 탈락하는 기업이 생기면서 꾸준히 성장하는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미 달러를 통한 미국 시장에서 직접 S&P 500 ETF를 구입하는 방법도 있고 한국 시장에도 상장된 ETF를 구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환 헷지형이 아닌 환 노출형으로 투자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환 노출형으로 투자해야 달러 자산이 금융위기와 같은 시장에서 오르게 되는데 미국 S&P 500 지수가 하락해도 달러자산으로 투자되어 있어서 그러한 손실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 투자의 또하나의 단점은 한국 주식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지만 미국 시장에 직접투자한 경우 22%의 세금, 한국 시장에서 투자한 경우 15.4%의 세금을 납부해야하는데 이러한 점은 연금펀드에 투자하거나 배우자나 자녀에게 증여를 통해서 세금 납부하지 않아도 꾸준히 투자할 수 있고 이렇게 투자한 금액으로 나중에 은퇴 시 노후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사고 파는 것이 아닌 꾸준하게 사서 모으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미국 S&P 500지수는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지금까지 꾸준하게 상승하여 왔고 앞으로도 미국의 다양한 혁신기업들로 인해서 더욱 더 발전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개별주식 투자가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어렵고 복잡한 투자 이기 때문에 미국 S&P 500 쉽고 단순하고 꾸준히 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