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미스터 갓
핀 지음, 차동엽 옮김 / 위즈앤비즈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저자는 핀이다. 핀이라.. 마치 요정의 이름과도 같다. 그는 외국에서도 베일에 싸여진 인물이라고 한다. 정규 대학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수학자이며 물리학자로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기도 한다. 그런 그가, 자기가 알고 있었다는 안나라는 소녀와의 추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가 말한 것 처럼 이 소녀와의 운명적인 만남이 실제였다면, 대략 1935년 정도에 안나를 만난 것이다. 그 때 안나의 나이가 불과 5살. 그리고 그 작고 어린 소녀를 집으로 데리고 와 2-3년 남짓 한 집에서 생활을 하게 된다. 그 때 핀의 나이는 20살이었다. 한창 방황기에 빠져있던 그가 어린 소녀를 통해 알아가는 삶과 배움에 대한 이야기는 놀랍기만 하다. 이 아이는 분명 부랑자였고, 물론 부랑자를 선의의 마음에서 집으로 데려와 어머니와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는 그 당시에도 불법이 아니었을까 싶지만... (물론 실제 이야기라면 말이다) 안나는 너무나 놀라운 재능의 소녀라서 이런 아이가 과연 존재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실제가 아니면 또 어떠하랴. 이 놀라운 소녀가 이야기해주는 삶의 진실에는 특별함이 숨어있다. 어쩌면 5살 소녀의 입에서 나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동심이 느껴졌고, 그래서 더 큰 감동으로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영적인 느낌으로 충만했다. 차동엽 신부님이 번역하고 싶은 이야기라고 했을 때 눈치를 챗어야 했는데! (그러지는 못했다) 안나와 핀은 하느님을 미스터 갓이라고 불렀는데, 그들의 이야기 중 하느님이 왜 고통속에서 신음하는 사람들을 외면하는가?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다. 이 주제는 수많은 교인들이 탐구하고 생각하는 문제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왜 하느님은 한 사람 한 사람의 고통을 다 어루만져주지 않고 견디게 만드는가? 혹자는 그것이 할당량 만큼의 고통을 감내할 능력이 있어서라고 하지만 누군가는 그런 과정에서 하느님에게 깊은 배신감을 느끼고 종교를 떠나기도 한다. 그런 것을 안나는 개구리를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으로 대치해서 명쾌하게 해석해준다. 자기 생각에 사람은 보는 지점을 가지고 있고 미스터갓은 봐야될 지점이 있다고 말이다. 철학 중에서도 탐구의 끝에 종교가 있다고 한다면, 안나의 이런 이야기는 어린이의 입을 통해서 전달되는 진실인 동시에 저자의 궁극적인 생각이다. 일평생 하느님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서 공부했을 저자의 생각을 안나를 통해 전해들으니 느낌이 독특했다. 어려운 말이 아닌, 진짜 쉬운 말. 어린이만이 할 수 있는 쉬운 단어들과 표현들에서 절대선이 무엇인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이 이야기가 진짜라면.. 그것은 기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