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일보다 사람이 힘들까 - 눈치 보느라 지친 당신을 위한 촌철살인 심리 처방전
조범상 지음 / 알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직장에 다니는 것은 단지 직업적인 능력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다. 머리는 비상하지만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자폐아가 있는 것 처럼, 업무 능력은 탁월하지만 사회부적응이나 직장에 부적응하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그렇다고 이들이 정신과적으로 병적인 장애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만났을 땐 한결같이 마음이 좀 약하지만 착한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일보다 사람이 힘들어야 할까?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모종의 훈련을 하고 직장에 나갈 수 있다. 세상엔 이렇게 많고 많은 타입의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과, 직장 동료가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모르고 당할 때 보다 알고 나서 보면 부드럽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 속에는 상사의 심리와 부하직원의 심리, 동료의 심리, 그리고 조직 자체의 문제점에 대해서 잘 나와있다. 각각의 분류별로 대표적인 유형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이름이 재미있다. 예를 들면 상사의 심리 부분에서는 상사를 혁명가형, 워커홀릭형, 매니저형, 연예인형 등으로 구분한다. 모든 상사가 이 부류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상사의 타입에 따라 그들의 내면을 분석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각각의 분류형에서는 자신이 정말 그런 상사인지? 셀프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공간도 있고, 20개의 질문들을 통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쪽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서 자신의 상사를 분류해 볼 수도 있다. 객관적인 질문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이라서 신빙성이 있었고, 그런 유형의 사람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대한 비법도 흥미롭다. 상사만큼은 아니겠지만, 부하직원이 일을 잘 못해서 스트레스 받는 사람이라든가 너무 자신의 공만 세우는 동료 직원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이 책을 통해 그 해소법을 배울 수 있다. 그들 또한 같이 일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충분히 스트레스거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하직원의 경우에는 질주형, 뚝심형, 말뚝형, 난 잘난형 등이 있었고 재미있는 이름이 의미하듯이 그들의 내면을 훔쳐볼 수 있다.

 

이 책을 보면서, 모든 스트레스는 모르기 때문이다. 라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이렇게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분류까지 해 가면서 인간관계를 잘 정리해 보려는 마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분명 좋은 인간성의 사람으로 모두에게 비춰질 것 같다. 힘들다고 내팽겨쳐 둘 것이 아니라 똑바로 직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이해하는 만큼 사랑할 수 있다는 격언이 떠오르는 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