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격차는 30대에 만들어진다 - 30대에 하지 않으면 후회할 50가지
오쓰카 히사시 지음, 박재현 옮김 / 북클라우드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인생의 격차는 30대에, 라는 말이 의미심장하다. 마치 30대에 제대로 무엇인가 이루어내지 않으면 40대, 50대엔 큰일 날 것 같은 분위기의 책 제목이다. 사실 30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긴 한다. 각자 나이에 맡게 수행해야 할 과제가 있기 마련인데, 10대에 꿈을 꾸고 20대에 그 꿈들을 하나씩 실험해 나가는 시기라고 생각하면, 30대에는 심어놓은 꿈들을 크게 키우는 시기이다. 40대부터 그 노력들을 거두어들이는 시기라고 볼 수도 있다. 현실적인 직업으로 그 꿈들을 실현해 나가는 동시에 출산과 육아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기업은 30대 중반 정도가 되면 이 사람에게 더 큰 일을 맡길지 아닐지를 판가름해 나가기 시작하므로 승진이나 이직같은 직장 생활 내의 위치 변동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책에는 이렇게 수많은 일들을 완수해야 하는 30대라는 나이에 대해 전면적인 조언들을 해 주고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역할을 충실히 따라가다보면 자신의 실력의 한계를 처절히 느끼기도 하는 이 때에, 자신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균형을 찾고 자신만의 행복을 찾아나간다면 안정적인 30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오쓰카 히사시라는 분인데, 이 분 또한 변화많은 30대를 보내었던 것 같다. 인생의 선배로서 자신의 경험담을 조언하는 부분들이 좋았다. 크리스마스 트리 사업을 펼치기 위해 잔뜩 나무를 심어놓았다가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사이 거품 경제가 꺼져 사업에 실패했다는 스스로의 경험담을 말하는 부분에서는, 뭔가 적극적으로 사업을 펼치려 해도 전 세계적인 경제운이 자기에게 따라줘야 하고, 그 부분을 판단하고 대비하는 것도 개인의 몫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직장 내에서 어떻게하면 인정받고 승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팁도 가르쳐준다. 직장생활과 사생활을 구별하지 말라는 것이 인상적이었는데, 직장의 일을 집에 가져와서 하라는 뜻이 아니라 너무 직장일과 집안일을 구별한다면 직장 동료와의 친분도 쌓기 어려울 뿐더러 직장에 대한 만족감도 줄어든다는 말이었다. 개인적으로도, 소중한 내 사생활 같은 일이 내 직장일이라면 만족도가 더 높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이론과 다른 부분이라서 인상적으로 읽었던 것 같다. 또한, 대량행동이라고 해서 1000시간을 영어에 투자한다, 골프에 투자한다 등 무식하게 시간을 투자하는 것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에도 동의한다. 쉽게 내 것이 될 수 없는 지식도 꾸준히 하다보면 내 것이 되는 경험을 해 봤을텐데, 10대 때에는 공부가 그 목적이었고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전부였으므로 저절로 그것이 됐지만, 직장 생활을 하면서 1000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그래서 지레 포기하는 것 보다는 이렇게 무식하게 시간을 투자해 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것 같다.
이 외에도, 본업 외의 관심사를 넓히면서 살기, 신체를 단련시키기, 어른스러운 유희를 즐기기, 전세집에 살 것인가 집 구매를 할 것인가 고민하기 등 30대가 풀어나가야 하는 숙제들이 비교적 현실적으로 조언되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20대의 풋풋함에서 벗어나 성공적인 30대에 안착하고 싶은 이들은 이 책 한권으로 30대에 어떤 일이 자신에게 일어날지 대략 판가름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일만 하다보면 남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생각하는지 소홀한 경우가 많은데, 30대로서 가져야 할 교양과 목표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