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내 생계를 위협하는가 - 누가 진보를 죽였는가!
크리스 헤지스 지음, 노정태 옮김 / 프런티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크리스 헤지스의 명저라고 하는 누가 내 생계를 위협하는가.. 이 책은 진보주의자들은 다 어디로 갔는가? 라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된다. 그는 중동에서 20년간 취재 활동을 해 온 기자로서, 이라크 전쟁을 시작하려던 부시 대통령을 비판했던 인물이다. 그는 진보라는 진영에도 여러가지 부류가 있음을 설명하고, 잘못된 진보개념 때문에 미국 내에서 진보가 사라지게 된 원인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미국이라는 나라는 진보당이 없고 세력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나라이다. 저자는 그것이 급진좌파와 진보주의자가 비판당할 때 자유주의자들이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자신과 비슷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더 과격한 사람들이 부당하게 정치적 공세에 시달리고 있을 때 그들을 돕지 않았던 잠재적인 진보주의자들 때문에 현재 미국에서는 진보의 씨가 말랐고, 더 이상 보수주의자들로부터 서민의 권리를 지켜내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반공주의의 반대편에 선 나라로서 냉전시대를 견뎌왔지만, 미국 내에서도 사회주의적인 가치를 지켜나가는 정당이 필요한데 그런 정당이 없을 정도로 진보가 추락해 버리다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기자가 쓴 책 답게 뭔가 현실적인 문제 , 현실적으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에 대한 예시가 많이 있다. 그들이 회사에서 부당한 대접을 받고 국민으로서 받아야 할 복지를 누리지 못하는 점 등 직접 와닿는 듯한 느낌의 생생한 인터뷰들을 만날 수 있다.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미국은 민간 보험밖에 없기 때문에 아파도 병원비를 제대로 낼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 중산층으로 벌고 살던 사람들도 이런 의료 환경 속에서 갑자기 빈곤층이 되어 버리기 일쑤라는 것이다. 이렇게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서도 정치적으로 진보의 성향을 띤 사람이 많지 않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정치 세력이 없기 때문에 사회적인 문제는 개선되지 않는다. 신보수주이 정당들 사이에서 결국 피해를 본 것은 노동자 계급이라는 것을 이 책은 여러 예를 들어 보여주고 있었다. 노동자와 중산층의 최소한의 이익도 지켜내지 못한 진보 정당들은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가야 할 것인가.. 이미 노동자들에게 남은 것은 배신감 뿐인데 말이다. 저자는 지금 살아남은 진보주의는 진보주의 자체가 아니라 신화적인 의미, 개념적인 의미의 진보라고 비판한다.
진보의 몰락은 남의 일을 내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이기심에서 나왔다. 나보다 좀 더 못살고 형편이 좋지 않은 노동자, 중산층을 바라보는 좀 덜 급한 이들이 그들의 어려움을 나누지 않고 관망한 것이 문제였다. 이것은 우리 나라도 마찬가지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나라는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진보성향이, 나이 많으신 분들은 보수 성향이 이렇게 나누어져서 조절되고 있긴 하지만, 나라를 바꾸는 데에 어찌 젊은이들만 나서야 하는가 싶다. 나이가 많아도, 또 살아가게 될 수십년의 대한민국, 자신의 자손이 살 대한민국을 생각하면 건강한 보수집단, 공산당은 아니지만 사회의 평준화와 복지에 더 큰 힘을 쏟을 진보정당들이 나와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