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가을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가 14세기에서부터 15세기의 유럽 역사를 집대성한 책이다. 책의 두께가 만만치 않다. 나는 처음에 14-15세기 때 살았던 사람이 이 책을 직접 집필한 줄 알고 있어서 책을 보면서 놀랐다. 책에서 저자가 마치 예전 이야기를 하듯, 타임머신을 타고 온 것 처럼 당신의 상황을 옛날인 것 처럼 이야기해서.. 결국 아니란 걸 알았고, 후대의 역사학자가 특별히 암흑의 시대라고 불리는 그 시대의 시대상을 쓴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저자는 중세가 암흑이라고들 말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듯 했다. 기사도와 기독교 정신이 있었던 이 시대의 이야기, 그리고 그들의 문화와 풍습이 자못 흥미진진하다.

 

중세를 왜 암흑이라고 하는가. 중세엔 인간이 중심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이 중심이었고, 인간은 악마와 하느님 사이에서 하느님을 쫓아야 하는 노예같은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모든 정치와 예술이 하느님을 칭송하는 데에 쓰였고, 전쟁이 일어나도 종교 때문이었고,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는 것도 교황이 손을 들어주는 쪽이었다. 르네상스라는 것은 신에서 인간으로 시선이 옮겨오는 것을 뜻한다. 그렇게 치면 요즘처럼 현대의 개인주의는 르네상스의 꽃이라 할 만 하다. 개인주의라는 것도 그렇게 보면 비난받아 마땅한 것은 아닐 것이다. 역사의 흐름일 뿐.

 

이 책에는 중세의 문화를 대표하는 여러가지 흐름이 나와있다. 기사도 정신에서부터, 사랑에 대한 중세인들의 생각, 그리고 사회의 위계질서에 대한 것들, 그리고 종교적인 감흥과 환상 등 중세를 지배했던 정신의 흐름에 대해 나와있다. 신이 중심이 세계에서 인간의 개인적인 사랑이 칭송받을 리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에는 엄격한 규범이 존재했고, 사랑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을 것 처럼 양식화되어져 있었다. 개인의 감정은 묵살당하는 것이 이 시대의 법치였다. 하지만 이런 시대에도 미학적인 조류가 있었다. 저자는 이 시대의 예술과 삶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목가적으로 살기를 바랬던 이 시대 사람들의 꿈과 희망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왕족과 교황의 이야기는 많은 책에서 역사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만, 중세 시대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애환에 대해서는 이 책에서 특히 잘 다루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