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꾸는 황소
션 케니프 지음, 최재천.이선아 옮김 / 살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고웰농장에서 살고 있는 황소인 에트르의 이야기이다. 에트르의 감정으로 이 황소의 독백과 생각으로 이어지는 만큼, 장르 상으로는 우화라고 할 수 있다. 고웰 농장은 암소의 젖을 짜서 우유를 만들고, 결국엔 도축을 하는 농장이다. 하지만 소들은 이런 사정을 알지 못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하나씩 올라가 사라지는 소들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의 송아지가 그립지 않을 정도로 좋은 곳으로, 이상향으로 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언젠가 봤던 영화에서도 이런 설정이 있었던 것 같다. 죽음을 맞는 이상향을 그리워하면서 꼭 그 곳에 가고 싶다며 평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 책의 황소 에트르는 수컷이다. 암소만 골라 젖을 짜고 도축을 하는 농장에 잘 못 들어온 수컷인 것이다. 그는 뿔을 가지고 있고, 영민한 생각을 하며, 자신의 암소를 찾아 사랑을 나눈다. 아직 젊은 그는 자신의 암소를 '내암소'라고 말한다. 에트르는 그렇게 내암소를 지키고, 다소 둔탱이이며 에트르의 마음을 몰라주는 그녀가 검은 황소와 불륜(?)을 저지르지 않도록 에트르는 그녀를 관리하고, 검은 황소에게 위협을 가한다. 그녀와 함께 낳은 아이인 수송아지는 에트르의 모든 것이다. 그런 그들에게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타야 할 시간이 다가온다. 물론 그들이 고대해 마지 않았던 시간이다. 에트르가 먼저 벨트에 오른다. 하지만 그는 보고 만다. 그 앞의 암소들이 목이 잘리거나, 내장이 청소된 듯 몸뚱이가 두 갈래로 갈라져 걸려있는 모습, 그리고 가죽이 벗겨진 모습. 그들의 죽는 방법은 제각각이었다. 하지만 그 순간 도축자들이 소리친다. "저건 황소잖아!!! 당장 중지시켜!!!" 수컷이었던 그는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농장의 다른 공간으로 옮겨지게 된다. 하지만 그는 보고 말았다.'내암소'가 죽어가는 과정을 보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의 애절함과 한스러운 슬픔이 생생히 느껴졌다. 소를 사람이라고 생각해보라, 가죽을 벗기고 목을 자르고 내장을 잘 파헤쳐서 갈비살과 팔, 다리를 부위별로 잘라 도축하는 과정을 말이다. 피는 뚝뚝 떨어지고, 에트르는 정신을 잃을 것 같은 충격을 받는다. 도축장에서의 끔찍한 경험 후 에트르는 자유를 향한 소망을 품기 시작하고, 자신의 아들이 수송아지와 함께 탈출을 한다.
이 책에 나오는 황소나 암소들은 뭔가 둔하다. 생각이 없는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프랑스어로 '존재'라는 뜻이라고 하는 이름을 지닌 에트르는 자신의 생각이 있다. 사람들의 말을 알아듣고, 스스로 생각해서 행동한다. 둔한 다른 암소들을 선동해서 탈출을 하자고 말하기도 한다. 그런 영민한 그를 이해해 줄 암소들은 없었다. 저자인 션 케이프는 육식에 대한 잔인함을 이 책에서 한껏 강조하고 있다. 어쩌면 그들이 생각하는 것을 알지도 못하면서 인간이 그들에게 만행을 행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말이다. 또, 생존의 존엄성을 차치한다 하더라도 수많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건강에도 좋지 않은 육식을 하는 것은 인류에게 큰 해악이다. 결국 전염병이 창궐하는 등 해서 강제로 육식을 못하는 상황이 오지 않는 한, 인류의 육식 생활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지만, 육식의 단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좀 더 용기있게 채식을 생활화 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나 또한 인간의 잔인성에 대한 자각과 생태계 보호 등 문화적인 이유로라도 채식을 생활화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