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 Story - 행동의 방향을 바꾸는 강력한 심리 처방
티모시 윌슨 지음, 강유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사람은 기계가 아니다. 그래서 공식을 넣어 프로그래밍되지 않는다. 더 나은 생각을 가지고 동기 유발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스토리이다. 시험 볼 때 무작정 암기하는 것 보다, 스토리를 외어 암기하면 더 기억에 잘 남듯이 삶에 대한 그림도 스토리를 넣어 그리면 더 나은 삶을 그릴 수 있다. 저자는 우리 마음은 스스로 움직이면서 스토리를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때문에 자신이 어떻게 움직일지 루트를 짜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스토리를 편집하는 것에 접근법은 세가지 정도가 있는데 글쓰기를 해서 자신의 행동을 재해석 해 보는 방법이 있고, 특정 내러티브 경로로 생각을 유도함으로써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는 방법이 있다. 세번째는 선행 실천 접근법이다. 나는 이 부분이 참 마음에 들었는데, 선행실천이라는 것은 자신이 성실한 사람이 되고 싶으면 성실하게 우선 살고, 정의로운 사람이 되고 싶으면 정의로운 행동을 먼저 하는 방법이다. 자꾸 하다보면 그 행동의 특성이 자신의 성격처럼 굳어져서 그 사람의 본질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말이다.그래서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작업은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글쓰기 요법의 위대함을 설명하면서, 글쓰기 (일기든 뭐든 자신의 행동을 객관화 시켜보는 일) 로써 생각이 잘 정리될 뿐 아니라 높은 학점을 받을 수도 있고 심지어는 몸의 면역기능까지 개선된다고 말한다. 자신의 글쓰기를 통해 자신이 느끼는 세계를 표현하고 해석해 보는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행동 속에 긍정적인 자기 향상적 순환고리가 있다면 더욱 좋다. 행동에 스토리를 심는 법에는 자기파괴적 순환 고리와 자기 향상적 순환고리가 있는데, 자기 파괴적인 순환고리를 끊어내는 일이 중요한 것 같다. 자신의 노력하는 점에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 고리를 형성하면 행복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 책엔 개인적인 사례들과 신문기사, 사회적인 역학조사, 설문지, 각종 서적들의 예가 많이 나와있다. 서적 중에 시크릿의 끌어당김 법칙같은 것도 설명이 되어 있는데, 저자는 시크릿을 비판하면서 스토리를 만들어 내는 것과 무조건적인 긍정성은 분명히 차이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서, 나를 변화시키는 스토리와 타인의 변화를 이끄는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의 교육에 대한 부분도 많이 나와 있어서 도움이 된다. 아이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법이나, 영재와 둔재의 차이 등 자녀 교육에 필요한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