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 - 김별아, 공감과 치유의 산행 에세이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실>의 작가로 유명한 김별아 님의 에세이이다. <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 뭔가 처음 들었을 때에는, 희망이 없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메세지로 가득찬 일상 이야기가 아닐까 싶었다. 삶이 힘겨워하는 이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삶을 공감하고, 자신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는.. 그런 전형적인 이야기틀을 갖춘 에세이집 말이다. 하지만 전혀 내 생각이 틀렸음을 책을 넘겨보면 바로 알 수 있다. '꽃'이 진짜 '꽃'이다. 꽃피는 산을 오르고, 눈 덮인 산을 오른 이야기이다.

 

저자는 산과 들을 오가며 등산을 하고, 자연을 벗삼은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하고 있었다. 뭔가 범접할 수 없는 산악인의 풍모를 엿볼 수 있었다. 약력을 보니 고향이 강릉이다. 강원도에서 태어난 사람다운 느낌이 확 들었다. 바다와 산이 어렸을 때 부터 친근했을 터였다. 특히 설악산을 넘어야 어디든 갈 수 있는 강릉이니 산에 대한 애정은 더욱 각별했을 것이다. 흔히 시인은 등산을 할 때에도 시를 노래하며 올라갈 것 같은 선입견이 있는데, 저자가 이태백같이 산을 오르지 않았음은 목차에서 알 수 있다. (세상에 여자를 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자가.. ) 천왕봉에서 성삼재까지, 신풍령에서 덕간재까지, 거기서 삼도봉까지, 대관령에서 매봉까지, 진부령까지.... 그녀는 산을 계속 넘고 넘었다. 쓰러지고 싶고 말을 할 기운도 없이 자신의 한계를 경험하면서 걷고 걸었다. 김별아씨는 우리 나라의 산들을 넘으며 '큰 산'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작아지는 지 말하고 있었다. 무릎까지 쌓인 눈밭을 걸은 이야기, 가도가도 끝이 없는 산을 오르면서, 산이 힘들어 케이블카를 놓은 인간의 위선을 비웃듯 저자는 한 발 한 발 산을 오르고 있었다.

 

백두대간 종주가 쉬운 일이 아니다. 백두대간을 종주하고 싶다고 결심한들, 그것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자연은 한없이 아름답지만, 거친 자연은 어떤 것 보다 무섭다. 이 책을 통해서도 그것을 다시금 느꼈다. 특히 산행의 첫 시작은 두려움과 지침 때문에 더욱 고되다. 날씨를 말하자면 우리 나라처럼 극한의 고온과 저온이 없는 장소에서도, 자연은 인간에게 한계를 경험하게 할 만큼 거칠다. 하지만, 고된 산행의 어느 순간 자연은 인간에게 말 못할 기쁨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산을 오르면서 산에게 고마워하고, 산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산에 간 것도 아닌데 산을 오를 때 힘들다던 '산멀미'를 나도 느낀 것 같다. 가만히 앉아 시원한 곳에서 독서를 즐기는 편안한 주말을 보냈지만, 누군가는 이렇게 몸으로 산을 오른다. 그 괴리감 때문에 생긴 멀미인걸까..? 자연에 안기고 싶은 욕망 때문에 생긴 멀미인걸까.. 그녀의 생생하고 아름다운 수필, 그리고 감동이 있는 산행이 인상깊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