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더 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 사랑하지만 벗어나고 싶은 우리시대 가족의 심리학
한기연 지음 / 씨네21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참, 자극적이다. 나는 더 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라는. 한국 사회의 가족에 대해 질서가 무너짐을 말하는 것일까? 라는 상상을 하면서 책을 들여다본다. 사랑하지만 벗어나고 싶은 우리 시대 가족의 심리학이란 무엇일까..! 저자는 이 세상에 완벽한 가족은 없음을 말하며 말할 수 없는 가족의 비밀에 대해 , 내가 가족을 벗어나고 싶은 이유들에 대해 많은 사례를 듣고 사례의 당사자가 직접 이야기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책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생생한 증언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지 더욱 공감이 가고, 가깝게 느껴졌다.
이 책엔 많은 문제적 (!) 가족이 등장한다. 고민들의 차이는 있지만, 어느 집안에서도 있을법한 이야기들이었다. 가족의 문제는 어렸을 때에 등장하게 된다. 자기 방어가 잘 안되는 어린 시절에 겪은 상처는 성인이 되어서도 트라우마가 되어 쉽게 극복하지 못하게 된다. 성인이 되었을 때 문제를 겪었다면 훨씬 성숙하게 대처할 수 있었을 텐데.. 가족의 구성원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트라우마를 가지고 사는 것과 같은 말일 것이다. 진정한 가족이라면 따뜻하고 행복해야 할 것만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가족을 위해 희생하면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기도 하고, 그 모습을 사회에서 그대로 옮겨오거나 아니면 정 반대로 행동하는 사람들도 있다. 저자는 가족 안에서 우리는 누구나 서로 싸울 수 있다고 말한다. 상처입고 주지만, 중요한 점은 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냐의 것이다.
가족이 따뜻한 느낌을 전하는 것 처럼, 부모도 성숙한 인간인 것 처럼 생각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어머니, 자신의 기대와 자신의 능력을 균형 맞추지 못하는 어머니 등.. 스스로 설 수 없는 부모들도 많고 아직도 인격적으로 미숙할 수 있다. 하지만 어린 자식들은 부모를 이상적으로 그리기 때문에 일종의 기대를 하게 되고, 수십년 동안 기대에 못 미치는 부모 때문에 혼란을 겪고 결국 부모의 곁을 떠나기도 한다. 책에는 그러한 문제 사례들이 많이 나와있다. 부모와의 관계 뿐 아니라, 형제와의 관계에서도 느낄 수 있는 박탈감이나 슬픔 그리고 그 때문에 절교를 하며 살아가는 형제들의 사례까지 많은 예가 나와있다. 나와 비슷하면서 더 심각한 수준의 사례를 읽으며 혹시 내 동생이, 내 부모님이 이런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을 해 보았다. 나 자신이 가진 트라우마도 이 책을 보면서 더듬어 볼 수 있었고, 그것은 가족과 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