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박현모 지음 / 미다스북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세종은 우리 나라의 위대한 왕이고 스승이다. 그가 이룬 업적은 한 사람이 이루었다고 보기엔 너무나 많은 감이 있을 정도이다. 그는 훈민정음을 창제함은 물론이고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4군 6진을 만드는 등 국가의 기강을 든든히 만든 왕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업적은 알고 있지만 그의 정치적 역량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세종과 그를 도운 인재인 장영실과 김종서에 대한 관계를 면밀히 알아보고자 한 책이다. 그의 업적 외에도 그가 어떻게 정치를 했는지 정치인으로서 그를 더 분석해 보자는 것이다. 세종실록, 정조실록, 영조실록 등 많은 책들을 참고로 해서 고증하여 쓴 책이니 만큼 객관적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저자는 첫 장에서 위대한 지도자의 조건으로서 태종이 왕의 조건으로서 충녕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의 정치적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종이 가장 먼저 선택한 정치의 비전은 '어짊의 정치'였다. 이 책에는 세종과 문무대신들의 대화는 물론 맹자와 공자의 말씀 등 많은 책들에 나오는 대화문을 직접 발췌하여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는데, 발췌된 어록을 와인색으로 표시하여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게 한 점이 좋았다. 세종은 토론을 좋아했고, 의논을 좋아한 왕이었다. 당시 신하들은 세종을 토론을 즐기는 군주 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좋은 아이디어를 뽑아서 정책으로 만드는 데에도 뛰어났기 때문에 훌륭한 왕이 될 밑거름이 될 수 있었다. 저자는 제 2장에서 세종의 정치적 마인드맵을 만들어보고 있다. 7가지 마인드맵이란 인재경영, 지식경영, 국방과 외교 경영, 북방영토 경영, 창조 경영, 감동 경영이다. 이러한 마인드맵을 만들어 각각의 주제가 뒤쳐짐 없이 이행되도록 세종은 물심양면 성의를 다 하였기 때문에 나라가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른 발전을 할 수 있었다.세종이 살던 시대에는 사서삼경만이 있을 뿐, 오늘날처럼 마인드맵이니 하는 자기계발론이 없었을텐데 어떻게 이렇게 창조적인 생각으로 고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는지 감탄이 절로 나온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세종의 이러한 비전 경영으로 현재의 우리가 닮을 수 있는 가치들은 어떤 것인가에 대해 나오며, 어록으로 보는 세종 리더십이라 하여 세종 십계명을 만들어 현대에 적용하고 있다. 세종의 비전을 알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의 놀라운 업적을 기록한 세종 실록 등의 고서를 접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