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정치경제학 - 하버드 케네디스쿨 및 경제학과 수업 지상중계
천진 지음, 이재훈 옮김 / 에쎄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도에 출간되었던 하버드 경제학이라는 책을 기억한다. 지금 전 세계를 이끌어나가고있는 많은 석학들이 세계적인 시각으로 명쾌하게 강의를 해 놓은 책이었고, 큰 베스트셀러였기 때문에 이 책이 나왔을 때 책의 제목이 비슷해서 혹시 그 책의 속편인가? 하는 생각을 했는데 역시 그랬다. 이 책은 하버드 경제학에서보다 경제학의 기초이론을 심화시키고, 국제적인 시야를 확장하고, 경제 외에도 사회, 정치, 문화 영역을 분석했다. 문화경제학이라는 말과 같이 다소 처음 들어보는 말들도 알게되었다. 또 정치적인 이슈도 등장시켜 미국 사회의 동향을 알게 했다.
일반인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는 경제학이란 학문을 심화시켜서 이야기하기 때문에 처음 읽을 때에는 이해하기 어렵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다 알고 이해하려고 하는 것은 무리이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병' 이라는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경제 이슈를 설명할 때에 책에서의 말 중 '국가의 국제수지가 단기적으로 갑자기 개선되어 해당 국가의 통화가 절상 압력에 직면했다' 라는 부분이 있는데 나는 단번에 이해하지 못하고 찬찬히 생각해야 했지만 굳이 어렵게 생각하려 하지 않고 강의를 듣듯이 들었다.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모든 내용을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네덜란드병이 무엇인지 알고 넘어가는 것이 나같이 비경제학도에게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 책에서 특히 관심이 있었던 부분은 중국에 대한 환율 정책과 미국의 의료개혁에 대한 부분이다. 중국의 환율정책에 대한 많은 교수들의 의견과 조언이 담겨져 있었는데, 경제가 변화하면서 환율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많다. 나는 고정 환율정책과 변동 환율정책들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중국이 어떤 환율제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벌어지는 시나리오들을 알 수 있어서, 중국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의료법 개혁에 대해서는 평소 관심이 많고 직장도 그 쪽이라 관심이 많다. 미국 의료 개혁의 필요성과 우리 나라 의료현실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오바마가 당면한 정치,제도, 예산 측면의 제약을 뛰어넘어 어떻게 공약으로 선언한 의료 개혁을 실행할 수 있을지 지켜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