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박 목걸이 - 딜쿠샤 안주인 메리 테일러의 서울살이, 1917~1948
메리 린리 테일러 지음, 송영달 옮김 / 책과함께 / 2014년 3월
평점 :
호박 목걸이는 저자인 메리 테일러가 유난히 좋아했던 목걸이다. 어릴적 집에 선물로 들어왔던 동양물품 중에 호박 목걸이가 있었는데 유독 눈에 들었던 이후로 인도와 일본과 한국으로 가면서 호박 목걸이를 지니게 되었다. 호박이 주는 오묘한 아름다움과 동시에 오래전부터 내려온 호박에 관한 이야기가 메리 테일러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 같다. 살아왔던 모든 순간들이 호박 목걸이를 이루고 있는 호박구슬 한 알 한 알처럼 메리 테일러의 삶을 이루어 갔던 것을 의미한다고 적고 있다.
메리 테일러는 영국 명문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유달리 왕성한 호기심으로 인해 세계대전이 발발했던 당시 연극배우로서 인도로 건너가게 되었다. 인도와 일본에서 연극 공연을 하다가 만나게 된 미국인 '브루스 테일러'와 결혼하게 되면서 한국으로 건너오게 된다. 한국에서 신혼생활을 거쳐 살며 바라보게 된 한국인들과 그들의 생활풍습과 그들의 역사의 한 장면을 함께 하게 되면서 한국에 애착을 가지게 된 듯 하다. 물론, 남편 브루스 테일러가 한국에서 광산업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서 살 수 밖에 없었지만 메리 테일러는 어떤 불평도 없이 진심을 담아 한국을 바라보고 알아가게 된다.
당시 한국은 일제 치하에 있었고 외국인들이 일부 들어와 살고 있었다. 메리 테일러와 브루스 테일러는 사업차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 중 일부였고 그 외 대사관 종사자, 선교사 등이었다. 서울에 집을 지었는데 이름을 '딜쿠샤'라고 지었다. 인도에 있을 때 감명깊게 본 건물을 뜻하는데 '기쁜 마음의 궁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글 속에는 몇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데 함께 골동품 가게를 운영했던 김 주사, 딜쿠샤 관리를 맡았던 김 보이와 공 서방, 그리고 추후에 관리를 맡았던 남두 내외. 각각의 등장인물들은 그들만의 고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메리 테일러는 그들의 행동과 대화로서 잘 나타내주고 있다. 메리와 브루스가 일본군으로부터 추방이 되어 미국으로 돌아간 후 브루스가 죽자 한국에 묻어주기 위해 한국 독립 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는 위 인물들 중 몇 명은 죽었다고 시동생 빌로부터 듣게 된다. 보고싶은 그들을 기억하며 추억하는 메리 테일러의 모습도 마지막 장에 적혀있다.
나 또한 한국인이라 어쩔 수 없는지 책 속에 묘사되어 있는 한국의 정취와 이들이 만났던 한국인들의 모습을 눈에 담고 싶었다. 나 또한 몰랐던 한국 역사의 한 장면들이라는 생각에 얼마나 귀한 내용인지 새삼 깨달으며 이렇게 글로 남겨준 것에 대한 감사함에 열심히 읽은것 같다. 메리 테일러의 눈으로 본 한국의 모습이지만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의 장면들은 새삼 이렇게 보일수도 있겠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고 당시 우리 민족의 애환이 담긴 모습을 읽을때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짠해지기도 했다.
역사적인 측면이 아니더라도 한국에 살았던 한 인물이 바라본 정겨운 한국의 모습을 한 폭의 그림처럼 그려볼 수 있는 책이었던것 같다. 다음에 다시 책을 펼쳐들면 또 다른 한국미가 느껴지지 않을까 싶다. 메리 테일러의 자서전이라 그녀의 왕성한 호기심과 삶에 대한 열정이 이끌었던 크고 작은 일들이 이루어낸 그녀의 삶 또한 볼 수 있는 재미가 있었기 때문에 여러가지 유익함이 있었던 것 같아 즐거웠다.
<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