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수의 1만 권 독서법 - 억대 연봉 대신 도서관 백수를 선택한 책 바보의 독서 이야기
김병완 지음 / 아템포 / 2018년 8월
평점 :
잘 다니던 삼성을 하루아침에 그만두고 도서관으로 출근하기 시작한 김병완 저자는 3년 동안 1만 권의 책을 읽게 되었다. 많은 책을 읽었다는 자부심으로만 책을 쓰기 시작한건 아니다. 번듯한 직장 그만두고 누구나 말렸을 법 한 도서관 출근으로 인해 저자는 자신의 근원을 찾기 위해 무작정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고작 8개월 만에 두꺼운 책 한권을 읽은 후 아무 내용도 기억하지 못했다. 좌절할 법도 하지만 다시 도서관에 있는 책을 집어 들었다. 독서법관련 책을 섭렵한 후 저자가 개발한 퀀텀 독서법을 소개하고 있다.
독서를 추구했던 옛 선조들이 행했던 초서 독서법을 배우고 거기에 퀀텀 독서법을 개발하여 지금은 저자의 꿈이 새롭게 바뀌었다고 한다. 바로 대한민국 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제대로 함으로서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독서법관련 책을 내고 있고 교육과정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독서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도 독서법으로 훈련을 해야하는데 퀀텀 독서법은 다독을 도와줄 수 있는 뇌 독서법이다. 뇌를 자극하여 뇌로 독서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고있다. 독서법이나 교육과정을 검색해보면 두뇌를 키워 효율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주는 과정들이 많이 보인다. 그중에서도 저자가 알려주는 훈련법은 눈으로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두뇌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뇌를 자극하면서 읽어가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속독을 하는 사람들도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책을 대각선으로 훑어 내려가면서 한 페이지를 순식간에 읽는 사람들도 어디선가 보았던 것 같다. 예전에 이런 사람들 영상을 보면서 정말 의아했던 것이 저렇게 읽으면 책 내용까지 단숨에 이해할 수 있을까였다. 정말 그게 가능할까? 저렇게 순식간에?
단순히 책을 빨리 읽는 것으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저자는 뇌로 빨리 읽어가면서 이해를 하고 생각을 하는 것이 진정한 독서라고 한다. 그 시작은 뇌로 빨리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책의 한 페이지를 위해서 쭉 훑어 내려오면서 읽도록 더 나아가서는 한 페이지를 통으로 읽을 수도 있다고 한다. 물론 연습을 해야한다. 이렇게 두뇌 독서법을 익히고 난 후 많은 책을 빨리 읽어가며 나에게 필요한 책을 찾고 그 책을 찾으면 초서 독서법으로 좀 더 깊이 있는 독서를 하기를 권하고 있다.
저자는 또한 독서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도 놓치지 않고 있다. 간서치라고 불러야 할까 독서광으로불러야 할까, 아무튼 독서의 대가들이었던 괴테, 허균, 다산 정약용, 헤르만 헤세 외의 여러 인물들이 조언했던 말을 덧붙이고 있다. 독서가 단순히 여유로운 시간에 잠깐 읽는 것이 아니라 독서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양식과도 맞먹는 것과 같다고 보고 있다.
독서를 시작한 지금 책 읽는 나의 마음을 점검하게 된다. 내가 왜 독서를 하고 있었는지 자문해보며 책을 대하는 마음을 가다듬게 된다. 유용한 지식 하나 얻으려는 시간투자는 아니었는지. 전생을 다 바쳐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던 그 분들에 비하면 나는 책을 대하는 마음이 참 가벼웠던 것 같다. 나에게 있어서 책이 주는 의미를 재정립하면서 독서법을 익혀야겠다. 독서에 대한 가벼웠던 마음을 정리하게 되는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마음인 것 같다. 정말 책을 제대로 읽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해본다.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