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건너는 집 특서 청소년문학 17
김하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의 집은 힘겹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많은 청소년들 중에서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행복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하는 것이다.

시간의 집이 직접 4명의 아이들을 선택한다.

갑자기 안 보이던 아무 상표도 부착되어 있지 않은 그냥 하얀 운동화가 보인다면 선택을 받은 것이다.

시간의 집이 드러나는 시기가 일정하지는 않지만, 나타나는 시기가 짧아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힘든 아이들이 많다는 것이 아닐까.

이번에 시간의 집이 선택한 4명의 아이들도 각자가 짊어져야 하는 무거운 삶의 현실을 갖고 있었고 그 삶으로부터 희망을 찾고 싶어도 그 방법을 모르고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있었다.

 

강민, 선미, 이수, 자영

이들이 등굣길에 만난 할머니가 느닷없이 선택을 받았다느니, 시간의 집으로 오라느니 설명을 들었을 때는 믿지 않았지만,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이 말을 믿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시간의 집으로 오게 된다.

이렇게 만난 4명의 아이들은 차차 마음을 열게 된다.

 

12월 31일, 과거. 현재. 미래의 문을 선택할 수 있고 문을 선택하고 나갈 때는 이전의 기억은 사라진다고 했다. 4명의 아이들은 설명은 들은 후 현재가 아닌 다른 시간대의 문을 선택할 것을 먼저 생각해 보지만 결국 이 아이들은 어떤 문를 선택하게 될지 궁금증을 자아냈다.

12월 31일이 오기까지 3개월 정도의 시간동안 시간의 집에서 4명의 아이들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각자가 힘들어하는 상황을 알게 되고 서로가 행복해지면 좋겠다는 생각들을 한다.

문을 선택하는 날이 채 다가오기도 전에 자영과 이수에게 문제가 터지고 결국 그 결과로 이수만 문을 선택할 수 없게 되면서 이수의 기억은 지워질 수가 없게 된다. 이수의 일과 연관이 되어 있는 자영도 기억을 지울 수 없게 되고 강민과 선미만 어떤 문을 선택하든지 기억이 지워지게 된다.

하지만, 이들이 어떤 소원을 말한다고 해도 시간의 집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생명의 문제를 다룰 수 없고,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3개월의 시간을 지내면서 4명의 아이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고 각자가 처한 상황을 조금은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아이들은 처음에 자기가 선택하고 싶었던 문을 내려놓고 결국에는 처음과 다른 문을 선택하게 된다.

 

마지막 에필로그는 문을 선택한 후 4년의 시간이 지난 후의 모습을 적고 있는데, 그 아이들은 행복해졌다고 생각이 든다. 그들이 겪고 있던 삶의 무게들을 피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는 아이들의 용기로 변화된 삶이 적혀있다.

---------------------

 

작가는 어렵지 않은 문체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지루한 부분 없이 이야기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작가가 청소년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알 것 같아서 다시 곱씹어보게 된다.

작가는 여러 상황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겪고 있는, 감당하기 벅찰 것 같은 상황일지라도 피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각도로 그 상황을 다시 바라본다면 그 상황을 받아들이는 마음도 조금은 달라질거고, 앞으로의 삶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고.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이 많다. 가정폭력, 학교에서의 왕따 등... 감당해야 하는 청소년들이 힘들어하는 마음에 지지 않기를. 상황에 무너지지 않기를. 이들에게 주어진 선택은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를.

< 이 글은 출판사 지원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