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기록부 핵심 100문 100답 - 2019 최신 학생부종합전형
전용준.정유희.이학준 지음 / 미디어숲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학생종합평가로 대학 입시를 준비할 때 필요한 것이 세가지 있다.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생활기록부이다.

그중에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생활기록부이다. 나라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리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생활기록부이고, 선생님이 추천해 주기 위해서 보는 자료가 바로 생활기록부이기 때문이다. 3가지 모두 중요하지만 그중에 생활기록부가 가장 중요한 이유가 그것이다.


고등학교 3년이라는 시간동안 어떻게 학교생활을 했는지 볼 수 있는 것이 생활기록부이다.

생활기록부는 크게 9가지 항목으로 나눠져 있다.

1) 인적사항

2) 학적사항

3) 출결상황

4)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5) 진로희망사항

6)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7) 교과발달상황

8) 독서활동상황

9)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이 9가지 항목을 어떻게 적어내느냐에 따라 생활기록부의 양이 많이지게 된다.

글을 쓰기 위해서 소재가 많이 필요하듯이 생활기록부도 양이 많을수록 좋다. 그래야 자기소개서나 교사추천서에 쓸 내용이 많아진다.


이 책은 항목별로 어떻게 준비를 해야하는지 잘 설명해주고 있다. 사실 많은 학부모들이 학생기록부에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잘모른다. 그저 시험 점수가 잘 나왔는지만 생각한다. 하지만 학부모의 관심에 따라 얼마든지 학생기록부에 기재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있다.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것이 교사이지만 교사들은 많은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꼼꼼하게 관리하지 못한다. 그래서 일정한 틀에 맞춰 똑같은 내용을 적는다. 그러나 학부모가 관심을 갖고 교사에게 자녀의 특성을 어필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제출한다면 얼마든지 생활기록부는 달라질 수 있다.


지금은 아이 혼자 하기에는 힘든 입시 시스템이다. 학부모의 관심에 따라 학교에 이름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왕이면 좋은 학교에 가길 원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