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15분 책읽어주기의 힘 -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짐 트렐리즈 지음, 눈사람 옮김 / 북라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홈스쿨러들의 필독 작가인 '짐트렐리즈'의 책을 검색하다가 알게 된 책이다.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이라는 제목 앞머리가 '자극적'이라서 망설이다가,
책 읽어 주기의 철학을 세우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 때여서 읽어 보기로 결심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다은이가 좋아하는 신호를 보내는 책을 그냥 읽어 주었다.
물론, 이 책을 읽은 후에 특별한 방법이나 원칙이 생겼다는 것은 아니지만,
앞서 소개한 이상금 선생님의 책과 더불어 그림책 고르는 지침서 역할 및 유아독서의 필요성에 대해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여러 이론적 바탕 및 추천 도서를 알게 된 수확이,
이 책을 통해서 얻어지게 되었다.
나는 다은이가 끊임없는 경쟁의 시대에서 1등, 최고만 되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비록 1등을 못해도 느낄줄 알고, 최고라는 소리를 듣지 못해도 말할줄 아는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
그럼, 제대로 느끼고 제대로 말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 교육의 어떤 점이 잘못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느낄줄 모르고 말할줄 모르는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이 책에서 찾는다면 그것은 '읽기 교육'이 잘못 되어서라고 한다.
이 책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 활자를 읽어 이해한다는 뜻보다는
부모가 읽어주어 아이의 귀에 책의 내용을 불어 넣어 준다는 뜻이 더 가깝다.
매우 어려서부터 '듣기 훈련'을 하는 아이들은 나중에 읽고 쓰는 능력뿐 아니라 듣기 능력도 향상될 것이다.
또한 부모가 읽어주는 것은 아이가 책을 읽을 수 있는 나이가 되어서도 계속되면 좋다.
핀란드 아이들은 8세가 되어야 활자를 일는 법을 배우지만 읽기 성적은 세계 최고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한다.
이 책 또한 소리내어 읽기에 좋은 책을 추천해 주고 있다.
이 책들은 이야기가 재미있고, 그림이 아름답다.
이왕 책을 사 줄 거면, 이 목록을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