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가 없어 고민입니다
구로카와 이호코 지음, 김윤경 옮김 / 넥서스BIZ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다보면 어쩜그리 눈치가 없을까싶은 사람도 있지만 나 또한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하지, 자리를 비껴줘야하나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가족간에도 내가 상상하며 말하는 것과 남편이나 아이가 생각하는 것과 달라 대화가 안통한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내가 잘못된것인가 고민하게 된다.

왜 말이 통하지 않을까?

<눈치가 없어 고민입니다>에서 지금까지 아무도 지적하지 않았던 뇌의 상태, '공감장애'의 진짜 정체를 밝히고 있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가까운 지인들 사이에서 피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는 답답한 관계를 처방해준다.

남녀 뇌에 관한 소통의 일인자로  불리는 저자가 공감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되어 감성적 소통연구를 하게 된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공감장애는 타인의 행동을 보고도 자신의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인식의 성향을 가진 뇌를 만한다.

'말이 통하지 않는 것'은 마음이 아니라 뇌의 문제이다.'

단지 인식프레임이 차이가 있을뿐이다.

사람은 인식프레임에 따라 세상를 바라보는데 인식프레임이 다르면 순간적으로 보는 것이 다르고, 행동이 다르다.

이것이 서로 이해할 수 없다. 짜증난다는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임을 부정할 수 없다.

공감장애를 가진 사람은 눈치가 없다, 배려가 없다, 무신경하다, 신큰둥하다는 평가를 받고, 악의는 없는데 옆 사람을 짜증나게 만들고 힘빠지게 만들고, 자발성을 떨어뜨리는 에너지 뱀파이어다.

이들은 처해진 상황을 뇌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행동을 봐도 배우지 못한다.

숲을 보기 보다는 잎을 보며 디테일한 부분이 신경쓰여 전체성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성향이 나쁘거나 머리가 나쁜 게 아니라, 뇌가 인식하는 기능 일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자각한다면 보완할 수 있다.



 


자폐증이나 ADHD를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

ADHD는 인식프레임이 단순해 주저없이 세계를 파악하는 경향이 있고 판단이 민첩하다.

판단이 잘못되었을 때는 민첩하게 대체할 만한 의견을 제시한다.

반면 사고의 연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대답할 수 없다.

자폐아는 감각이 너무 예민한 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리에 예민하고 혼잡한 소음을 견디지 못한다.

마음의 문을 닫고 있는 게 아니라 의식의 문이 닫히지 않아서 괴롭다.

남의 동작이나 태도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행동은 늘 신경에 거슬린다.

그러나 공감장애가 있어도 사교적일 수 있다.

차별하지 않고 친구를 사귀며 허물이 없고 주변의 반응을 무시할 수 있는 강인함이 있다.

자폐증에는 아인슈타인, 코코샤넬 등의 천재들이 대표적인데 부족하기 쉬운 사회적응력을 조기에 키워주면 개선할 수 있다.

갈수록 공감장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들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것인가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이 책을 읽어보면 남편이나 아이와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것이 서로의 뇌가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힘들게 집안일을 하고 있는 나를 조금만 도와주면 빨리 끝내고 함께 뭔가를 할 수 있을텐데라는 생각에 눈치 코치가 참 없다 생각했는데 아내에게 무관심한 게 아니라 일체감이 강해서 다정한 풍경으로 인지하고 감정은 알아체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조금은 이해가 된다.

자폐아, ADHD 등 공감장애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공감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이끌어주어야하는지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심리의 차이에 의해 소통이 안되는줄 알았는데 뇌의 문제였다니 뇌과학에 대해 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며 이해하고 배우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