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술래
김선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봄...나는 봄을 탄다. 나는 그럴때 위로 받고 싶은 이야기책을 읽고 싶어진다.

책 설명 몇줄만 읽고도 읽고 싶었던 책 '내 이름은 술래' 책을 받아든날 다 읽어버렸지만

서평은 내 마음대로 막 써내려갈수가 없었다.

상처받은 영혼들 ... 그리고 그들의 따스한 인간미... 단막극장을 보는 것처럼

등장인물들이 내 눈앞에서 생동감있게 살아움직이는거 같았다.

버스를 타고 몇 정거장만 가서 내리면 그들이 사는 마을이 있을것 처럼 친근했다.

 

'술래'라는 특별한 이름을 가진 여자아이...몇년만에 아빠의 품으로 돌아온 그녀는

시종일관 나의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마지막 반전은 있었지만 나는 우와~하고 놀래지 않았다.

그저 마음이 저릿저릿 ...아니길 바랬는데 아니길 바랬건만, 현실에선 용납하고 싶지 않은 일들

투성이라는 생각뿐이다. 술래가 집으로 돌아와 사귄 '리영복' 친구는 끼리끼리라고 했던가.

영복이도 술래만큼 사연 많은 아이이다. 집은 북한인데 여동생을 잃고 아버지와 남한으로 넘어

온 산전수전 다 겪은 아이이다. 

"이게 살아 있는 건가 싶다. 우리 가족은 남에서나 북에서나 가진게 별로 없다."

열살의 영복이가 읖조리는 대사는 욕심이 그득그득해진 우리네들에게 무언가 허탈하면서도

내가 참 많은 것을 가진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내가 열살땐 어땠었지? 난 그때 무슨 고민 무슨 생각을 했었었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별 생각 없던 열 살...아이였을 뿐인데 말이다.

 

또 다른 이야기 축으로 등장하는

할아버지 두 분. 온갖 짐들을 마당에 쌓아두고 사시는 상처 많은 할아버지...

그리고 그 마당에 슬그머니 담을 넘어 똥을 누고 가는 광식할아버지..

그 분들의 우정과 인생을 읽어내려가며 나는 그분들은 서쪽으로

넘어갈때 비추는 강한 태양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분들에게 찾아가 엄마를 찾아달라는

부탁을 대신 하는 영복이...그리고 그 뒤에 서 있는 술래.

술래는 태초부터 엄마가 있었지만 태초부터 엄마가 없기도 한,

한 없이 작고 가녀린 우리가  지켜주어야할 아이었을 뿐이다.

웃음을 주고싶은 직업을 갖고싶다는 지하철에서 후레쉬를 파시는 술래 아버지도

전쟁 중에 어린아이를 죽여서 평생 자신이 만든 감옥에서 사는 할아버지.

자살을 기도한 끝에 정신을 놓아버린 할아버지도

다 우리 곁에 살아있는 이웃이고 또 내 가족이라는 생각이 든다.

 

누가 내가 죽으면 날 발견해줄까...이런 생각에 한달에 한번 피자가 배달오도록

준비시켜놓은 그의 일상, 외면하자면 남의 인생일 뿐이지만 외면하면 우리는 참 못난

우리네가 될뿐이다. 따뜻해 지는 봄날 만큼 나도 더 성숙해지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슬픈 이야기를 읽으며 슬프지 않은 현실을 꿈꿔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