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기 전에 자폐 증상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세상의 마지막 자폐 세대 루. 그는 일반인에 비해 사회성이 떨어지고 원활한 소통을 힘들어하지만, 수학과 과학을 바탕으로 한 패턴을 발견해내는 것에는 천재적인 소질이 있다.

루는 자신이 자폐임을 알고있고 때때로 정상인들의 사회성을 부러워한다. 그러는 와중에 루가 다니는 회사에서 개발중인 정상화 수술을 개발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회사의 높은 상사인 크랜쇼는 회사에서 개발중인 정상화 수술을, 회사 내의 자폐 환자들에게 임상실험을 하고 싶어한다. 물론 겉으로는 그들을 정상인으로 되돌려 놓을 수 있는 치료 방법이라고만 말한다.

자폐인들은 수술을 받기를 꺼려하지만, 수술을 받지 않을 경우 실업까지 생각해야하는 상황에서 깊은 고민을 한다. 그들은 자폐가 있기 때문에 실업을 할 경우 재취업을 하는 것이 만만찮다. 게다가 지금 일하는 회사는 자폐인들을 위한 시설마저도 잘 갖추어져 있다. 물론 그 시설들은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서 정상인으로 되돌아갈 경우엔 필요없어지겠지만 말이다.

날 때부터 자폐였던 사람과 정상이었던 사람. 자폐인의 정체성을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는 정상인들. 그것들이 자폐인을 정상인으로 되돌리기 위한 개발로 이어진다. 자폐인은 자폐인으로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과 잘하지 못하는 것을 가려낸다. 오히려 자폐인들은 특정 부분에 대해서 정상인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루의 경우처럼 자폐인들은 정상인이라면 보통이거나 그 이하의 수준밖에 해낼 수 없는 일을 특출나게 잘 해낼 수 있다. 그리고 루처럼 충분히 교육을 받는다면 사회에서도 어느 정도 정상인과 섞여 지낼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조차도 이 책 속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정상인처럼 자폐를 부정적인 장애로만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깨달았다. 사회성이 떨어진다거나 장애가 있다고해서 정상인이 그들보다 월등하다는 것은 착각이다. 루의 경우처럼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타인을 배려하는 교육도 충분히 받았으며, 자폐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있다면 정상화 수술을 받는 것은 오히려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행동이 되어버린다. 잘하던 것을 잃어버리고 남들과 비슷해지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일까.

정상인은 정상인이 아닌 사람들을 비정상인으로 구분하고 확실한 경계를 두려고하지만, 정상인과 비정상인은 사회의 '다른'구성원일 뿐이지, 한쪽이 낙오되거나 부정되는 '틀린'구성원이 아니다.

비정상인을 정상인으로 만들기 위한 정상인의 폭력성에 대해 깊게 생각해볼 수 있게 만드는 내용들이었다.

소설 밖으로 나와서, 사실 번역되어 오는 책은 작가의 기량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옮겨내는 번역가의 능력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본다. 그런데 책의 내용을 읽다보면 흐름이 끊기는 부분이 너무 많다. 어느 부분에서 누가 대사를 던졌는지 짐작할 수가 없거나, 문장 자체가 어색하거나, 문장이 중의적으로 해석되어 뒷문장을 읽고 다시 되돌아 와야 한다거나 하는 부분들이 너무 많았다. 게다가 오탈자 검수를 제대로 하지 않았는지 셀 수도 없을 만큼 오탈자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번역의 문제와 오탈자로 인한 책의 완성도 하락이 저자가 전달하고자 했던 책의 내용을 온전히 전하지 못하게 가로막아버려서 상당히 아쉽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