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억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배우자가 있는 중년의 여자를 사랑하는 19살의 주인공. 당시의 그와 그녀는 그들이 선택한 사랑이 옳은 것이라 여긴다. 내로남불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이 1장에서 주인공은 사랑에 불같고 맹목적이다. 그 시절의 남자라면, 그 시절에 첫사랑을 시작하게 된다면, 누구도 그렇게 맹목으로 될 것이라 생각한다. 처음 맞이하는 사랑은 스스로도 잘 다룰 수 없을 정도로 뜨겁게 달구어진 쇳덩이와 같은 것이었다.

다음 장으로 넘어가면, 양쪽의 사랑의 온도가 맞지 않는다. 점차 식어가지만 필사적으로 불쏘시개를 넣고 부채질을 하는 주인공과, 그걸 아는지 모르는지 자신 속에 삶을 가둔 채 자신의 뜨거움만 강조하는 그녀. 두 사람 사이의 주체할 수 없는 온도차이는 결국 한쪽의 희생을 강요한다.

마지막으로 넘어가면, 주인공은 과거의 사랑에 대한 기억 때문에 그 이후의 사랑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는 마지막까지 그녀를 사랑하고 있었다고 말하지만, 그의 말에선 사랑이라기보다 한 인간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과 연민과 고통이 더 많이 느껴졌다.

어린 나이에서, 마지막 중년으로 접어든 자신으로 기억의 흐름이 이어지면서 기억의 관점도 '나'에서 '너'를 거쳐, '그'로 바뀌어간다. 자신이 하는 것이 사랑이라고 맹목적으로 믿고, 또 자신 자체를 믿었던 '나'에서 나와 너, 나와 그녀라는 관계에 갇혀 필사적이게 되버린 '너'는, 결국 마지막에는 주인공이 사랑의 주체에서 벗어나 '그'라는 3인칭 시점으로 옮겨저 버린다. 사랑의 위치가 나에서 우리, 그리고 그것으로 이동하는 것을 글의 시점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사랑이라는 것이 항상 애뜻하고 아름답고 슬프기만 한 것들로만 되어 있지 않다. 연애의 기억은 앞서 말한 그런 것들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사랑이 점차 내 몸에서 바깥으로, 내것에서 그것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꽤나 차분히 그려냈다.

다만, 번역가의 역량의 문제인지, 혹은 원서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려고 그랬던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글에 집중을 할 수가 없었다. 뒤집힌 문장이 많아 거슬러 올라가 읽었던 것도 셀 수 없을 정도였다.(이제 그녀가 너에게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네가 그녀의 비밀을 아는 것을 막기 위해-와 같은 문장)

게다가 유럽의 정서가 원래 그런 것인지, 인물간의 대화나 서술 속에서 이해할 수 없는 말들도 너무 많았다(대체로 서양사람들은 동양사람들과는 달리 의역을 하거나 반어를 통해서 전달하려고 하지 않는다). 때문에 기분이 상할 정도의 말을 아무렇지 않게 던질 때에도 웃으며 받아주거나 수긍하거나 할 때, 우리가 무례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할 때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들은 어쩔 수 없이 적응할 수 없는 부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것이 그렇게 거부감이 들도록 책을 번역한 번역가에게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뭔가 사랑에 대해서, 작가가 열심히 담으려고 한 책이었지만 나에게는 아주 이질적인 외국의 음식을 접한 것처럼, 거부감과 불편함이 많았던 책으로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