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의 정당성은 없다

- 애나 번스의 노 본스를 읽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 인물의 시접을 따라가지 않는다. 상처 받아온 제임스가 군인이 되어 연락이 끊겼던 이모의 마을로 가서 겪게 되는 이야기와 주 등장인물인 에밀리아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지는 것 같지만 이어지지 않는 이야기로 아버지의 학대를 받던 제임스가 군인이 되어서 자신도 모르게 행사한 폭력과 폭력들의 속에서 자신이 길을 읽음으로 겪는 이야기와 학교에서는 선생님들에게 무조건 적인 복종을, 가정에서는 부모의 방임과 형제들에게 당하는 폭력, 친구들은 집단에 동조하지 않는 에밀리아에게 당연하다는 듯 폭력을 휘두른다.

 

이 소설을 쓴 애나 번스는 2018[밀크맨]으로 부커상을 받았다. 그보다 앞선 소설이 바로 이 [노 본스]이다. 작가 애나 번스는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출생으로 소설 속 아도인이라는 지역에서 실제로 살았다.

작품에서 보여지는 모습들은 우리가 상상하는 어느 시골마을과 풍경은 같을 수 있지만 그 일상은 어둡기만 하다. 전쟁이라는 괴물의 카펫이 전 지역에 깔려 있으며 모든 폭력을 먹이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아버지로부터 어려서부터 학대를 온몸으로 받으며 살아온 아이가 군인이라는 집단에 들어가서 휘두르는 폭력에 정당성을 찾으며 인정받기를 바라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끼게 된다.

여자아이라는 모습으로 전쟁 속에서 그 누구의 보호와 보살핌도 받지 못한다. 가장 약한 존재인 아이, 여자라는 키워드가 전쟁의 괴물은 약자를 먹이로 삼는 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핸래티 선생님은 어른이니까 아마도 아이인 자기가 잘못해서 이런 일이 일어났을 거라고 생각했다. (가제본 49)”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폭력의 세뇌가 너무나도 끔찍하게 다가온다. 당연히 보호받아야할 아이가 이유도 모르는 잘못으로 혼이 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게 만든 어른들의 세상은 괴물의 아가리와 같다고 밖에는 할 수가 없다.

 

세상에 폭력은 모두 이 마을에 모여 있는 것 같다. 부모의 폭행과 방임, 형제들의 폭력, 마을 사람들의 아이들을 훈계 한다는 핑계로 무릎을 총으로 쏘는 것의 정당화, 학교 선생님들의 폭언, 집단에 동조하지 않았다는 이유인 친구들의 폭행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모든 혐오와 폭력이 모두 집결되어 있다.

 

읽는 내내 불편함을 감출 수가 없었다. 조금 이라도 힘이 있는 자는 자신보다 약한 자에게 어떻게 하든 힘을 행사하려 하는 것이 전쟁이라는 이름으로 묵인되고 있다. 실제 지금도 지구에서는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지금 나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겪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가 무사할 수 있을 거라는 안일한 생각은 하지 않기를 바란다. 전쟁을 겪지 않을 뿐이지 지금도 누군가는 폭력이라는 괴물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을 것이다.

어떠한 형태의 폭력도 정당화 될 수 없음을 알기에 전쟁이라서 어쩔 수 없다는 등의 이유를 달지 못하도록 깨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하기에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반드시 읽어보기를 바라며, 지금 겪고 있을 사람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앞으로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깨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글은 창비에서 가제본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부커상 #애나번스 #노본스 #전쟁 #여성서사 #밀크맨 #폭력 #창비 #리뷰

 


"핸래티 선생님은 어른이니까 아마도 아이인 자기가 잘못해서 이런 일이 일어났을 거라고 생각했다. (가제본 49쪽)"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운 수학의 세상

김리나 작가의 도전! 수학 플레이어낯선 모험의 시작을 읽고

 

세대의 변화와 함께 변하는 것 중에 하나가 언어이다. 하지만 세대가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언어들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수포자이다.

수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렵게 생각한다. 나도 일명 수포자중 한 사람이다.

도전! 수학 플레이어낯선 모험의 시작라는 제목을 처음 봤을 때 쿵하고 떨어지는 기분이 들었다. 기존에 있는 수학책들처럼 외계어가 난무한 것 같은 책일 것이라고 여겼다.

이야기의 흐름은 미래에서 중요한 인물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없애려하는데 자신들의 세계에서 어려우니 과거로 돌아가서 없애는 것을 선택한다. 타임슬립과 같은 내용들은 종종 있어왔다. 하지만 블랙홀을 연관지어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은 새로웠다. 소설이지만 수학을 근거로 한 것이기 때문인지 증명되지 않은 화이트홀에 대해서 확정을 짓기보다는 학자들이 말하는 가설로 설명을 하고 있다. 학습소설로서 자칫 읽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줄 수도 있음을 지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학의 개념을 설명하는 책들에서 공식을 써놓고 설명하는 것과 다르게 작가는 수학의 역사를 접목시켜서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게임을 덧붙였다. 수학의 역사를 설명만 하는 것이 아니다. 주인공이 직접 수학 게임에 들어가서 플레이를 하며 역사 속의 한 인물이 되어 진행하는 흐름이 몰입을 주었다. 개념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겨난 것을 앎으로 조금 더 이해가 쉬워졌다고 할까.

주인공이 휴대폰을 습득하게 한 후에 가상현실에서 수학을 플레이하게 된다. 레벨을 올려서 수학의 지식이 쌓이게 한다. 게임 속 상점에서 구입한 수학 책은 피는 순간 내용 속의 한 인물이 되어 수학의 역사를 체험하게 된다. 영화 인셉션처럼 꿈속에서 다시 꿈속으로 들어가는 설정처럼 같았다.

공식을 늘어놓지 않고 설명하는데 마치 공식을 보고 있는 듯 한 느낌은 본질을 알게 했기 때문이다.

책이 두껍지 않고 지루하지 않게 이야기를 끌고 가고 있지만 방대한 수학을 모두 담으려 한다면 꺼리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은 염두해 두어야 할 것 같다.

수학이라는 글자가 제목에 포함되어 첫 장을 피기도 전에 지레 겁을 먹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청소년들이 첫 장을 필 수 있도록 제목에 조금 더 신경을 쓸 필요도 느낀다.

누구의 권유가 아닌 스스로 빼어드는 도서가 되도록 말이다.

위 글은 도서출판사 창비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도전!수학플레이어 #창비 #수학 #김리나 #작가 #청소년도서 ##서평 #청소년도서

#피타고라스 #블랙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마워요 잘 자요
패트릭 맥도넬 글.그림, 김은영 옮김 / 다산기획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자~
메기가 동물 친구들을 재우는 과정이 그려지네요.
침대에 누워 동물들이 잘때까지 일어나는 일들이예요.
마지막에 친구들이 어떻게 잠이 드는지 알 수가 있어요.
동물 친구들을 메기는 잘 재웠을지, 그리고 메기는 어떻게 잠드는지 아이들과 함께 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1쪽
할까말까 고만할 때는 해보자! 즉시 움직이면, 포기란 단어 앞에서 일이 줄어들지 않을까?

->얼마전 읽었던 망설임에 대한 칼럼이 생각난다.
망걸이다가 모든걸 흘려보내진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