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고통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가 이미지를 통해서 본 ‘재현된‘ 현실과 ’실제’ 현실의 참담함 사이에 얼마나 크나큰 거리가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책이다.

책의 주는 사진을 통해 고통의 이미지를 마주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는 문학과 그림 등을 통해서도 고통을 마주한다.
하지만, 문학과 회화 보다 현실성을 부여하는 사진은 우리를 고통의 앞에 서게 한다.
최초의 전쟁 사진은 크림 전쟁이었다. 하지만 우리 누구나 추측할 수 있지만 당시의 사진 기술로는 순간포착이라는 것이 불가능했다. 오랜 노출이 필요한 당시의 기술로는 정적인 대상만이 피사체가 될 수밖에 없었을테다. 실제의 상황이 그대로 연출이 없는 이미지는 베트남 전쟁 때부터라고 한다.

사진은 실제의 현실의 특정한 순간을 담는 믿을 만한 복사본이자 필사본 인 동시에 그 현실에 관한 해석이 될 수 있는 도구다. 다만, 이 또한 작가의 해석이 들어갈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구도에 따라 피사체의 어떤 측면을 촬영하느냐에 따라 사진은 현실과는 다른 이야기를 들려줄 수도 있다.
사진의 의미는 그 사진이 얼마나 공명을 불러일으키느냐에 달려 있다. 이에 어떤 사진가는 연출을 이용하기도 한다. 현장의 사진 보다 작가의 연출이 가미된 사진이 더 의미를 부각시켜주기 때문이다.

최근엔 고통의 이미지를 담은 사진이 많지만, 최초의 전쟁 사진들은 전쟁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 쓰였다.

고통의 사진은 아시아나 아프리카가 배경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사진으로 부당한 고통 반드시 치유해야 할 고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러한 고통은 그런 곳에서만 발생하는 일이라 믿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는 고통의 사진으로 자신이 안전한 곳에 있다고 느끼는 한, 무관심해지기 마련이다. 고통스러운 이미지는 우리에게 최초의 자극만 줄 뿐이다. 그 사람들에게 연민을 느낀다는 것은 우리의 무능함과 무고함(나는 가해자가 아니라고!)을 증명해주는 셈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고통과 우리의 특권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고 숙고해 보는 것. 그래서 전쟁과 악랄한 정치에 둘로싸인 채 타인에게 연민만을 베풀기를 그만둔다는 것. 바로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과제다.

고통의 이미지를 우리는 대중 매체를 통해 접한다. 따라서 대중 매체가 보여주는 것에 대중은 주목한다. 우리가 어떤 전쟁은 잘 기억하고, 어떤 전쟁은 기억에서 희미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미국에 흑인 노예사 박물관이 어디에도 없는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다. 이미지로 뒤덮인 세계에서 우리는 무감각해지고, 실제로 전쟁을 겪은 이미지 속의 상황을 우리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렇더라도 전쟁의 본성, 연민의 한계, 그리고 양심의 명령까지 더 진실하게 생각해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제로책방 #책리뷰 #책기록 #책추천 #북스타그램 #유명한책한권읽음 #좀더쉽게쓰셔도괜찮았을듯 #간만에들어본매그넘 #로버트카파 #리뷰쓴게어디냐며 #리뷰패스하고싶었던책

부수적인 설명들이 많이 붙어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좀 더 쉽게 표현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원문을 읽을 능력이 안되니 답답한 마음이 있음. ㅋ 고통의 이미지(영상으로) 배틀이 일어나는 요즘 시점에서 저자는 어떤 말들을 쏟아낼 것인가? 궁금하다. 남의 고통의 영상을 소비하고, 그것을 관심의 도구로 삼는 현상에 대해서는 어떤 말을 쏟아낼지 이젠 세상에 없는 그녀의 글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