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의 폭력 - 고대 그리스부터 n번방까지 타락한 감각의 역사
유서연 지음 / 동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고대부터 이어져온 여성 착취를 설명하면서 보는 순간, 그러니까 당장 눈앞의 대상으로 그 외의 시간과 맥락이 생략된 ‘지금 여기에 있는‘ 현전성에 집중한다. 현전성은 사진이나 영상에 등장하는 여성을 타자화시키는 가장 주요한 개념으로, 주체인 ‘나‘와 객체인 ‘너‘를 구분 짓는 것이라 말한다. 이것은 곧 자신의 주체성을 지키고 타인을 객체화 시키는 무기가 되는데(152쪽) 이로 인해 남성들은 소라넷, 불법 촬영물, N번방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성 착취물을 공유하며 서로의 유대를 확인하고, 여성혐오를 둘러싼 광기와 폭력의 주체가 된다.

책에 따르면 관객들은 신이 되어 스크린에 보이는 세계를 자신이 지배하고 있으며 카메라의 시선을 따라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착각하게 되어, 영화는 기계장치가 만든 허위적인 환각일 뿐이지만 관객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영화 장치가 내포한 이데올로기를 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134쪽) 결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셀 수 없이 많은 여성들이 살인당하거나 성착취를 당하는 것을 보는 관객의 시각은 ˝객체화된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스크린을 통해 보는 쾌락과 즐거움이 관음증으로 전환˝(138쪽) 되고, 이는 여성 배우의 극중 노출 장면이 인터넷을 통해 ‘액기스 영상‘의 이름으로 퍼져나가거나 여성 살해를 연상케하는 사진이 잡지의 표지를 장식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화면에 현전하는 여성의 신체는 이미 사람이 아닌 사물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매 장을 넘길 때마다˝몇 년 전 한 줌의 재가 된 내 친구는 어째서 한국 남자들의 모니터 속에 XX대 XX녀 라며 아직 살아있는가.˝라고 쓴 피켓이 떠올랐다. 여성은 사망했더라도 화면 속에 현전하기에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채로 남성들에 의해 새로운 이름으로 계속해서 공유된다.

또한 남성은 공고한 남성 카르텔 덕분에 이러한 행위들에 수치심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안전하게 불법 영상물을 소비한다. 불법 영상물 카르텔의 중심 손정우와 갓갓, 박사, 양진호 등은 솜방망이 처벌을 받았고 성착취물을 공유하며 소비했던 공범들은 아무렇지 않게 살고 있겠지. 여성은 화장실도, 버스나 지하철도 하물며 자신의 집도 안심할 수 없는 불법 촬영이 만연한 세상이다. ‘일상적 공포‘라는 말은 이제 구태의연한 표현이 되었지만, 여전히 여성들은 일상에서 두려움을 느낀다. 남성들의 시각의 폭력에 저항하기 위해 여성들은 시선강간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해왔다. 이것이 과하다거나 불편하게 느껴지는 남성들이 있다면, 모든 남자를 똑같이 보지 말라고 불평할 것이 아니라 불법을 일삼는 남성 카르텔을 향해 말하라. 멈추라고. 공분해야 할 대상은 여성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