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양육자 - 아이와 함께 사는 삶의 기준을 바꾸다
이승훈 지음 / 트랙원(track1)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제가 좋아하는 어린이가 하나 있습니다.

김소영 작가님의 <어린이라는 세계>에 나온 현성이.
신발끈을 묶느라 고군분투하는 현성이에게
‘어른이 되면 쉬워질 거야’라고 하자
현성이는 이렇게 말하죠.

“그것도 맞는데 지금도 묶을 수 있어요.
어른은 빨리 할 수 있고,
어린이는 시간이 걸리는 것만 달라요.”

현성이를 보며 몇 번이고 다짐했습니다.

조급해하지 말고 기다려주는 어른이 되자.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이 몫으로 두자.

그런데 그런 다짐은 까맣게 잊고
저는 어느새 아이의 많은 일을 대신해주고
기다리긴커녕 얼른 하라고 채근하는
마음이 아주 아주 급한 양육자로 살고 있더군요.

오늘 <도시의 양육자>를 읽었어요.
그리고 다시금 현성이를 떠올랐습니다.
아이를 자주적인 아이로 키우고자 했던
과거의 저 자신도요.

_

<도시의 양육자>는
아이를 잘 키우는 법에 대한 책입니다만,
특히 아이와 어른도 바쁘고 빡빡한 생활을 하는
도시에 사는 아이들을 키우는 법에 대해 말합니다.

어른이 만든 계획대로 배우고 생각하는 데
익숙해진 도시의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주도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으로
자랄 수 있을지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합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제목의 ‘양육자’가
부모로 국한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교육의 주체인 부모, 학생, 선생님을 넘어
아이들이 사회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까지로 확대합니다.

집에서, 학교에서 잘 크는 법이 아닌
사회의 시민으로, 세계의 시민으로 잘 크는 법
아이 스스로 양육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잘 돌보는 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책을 읽고 아이를 조금 더 적극적으로
세상에 내보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어른들과 만나고
다양한 친구들과 어울려보도록 기회를 주는 일이,
‘체험’이라는 이름으로 규격화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보다 필요하겠구나 싶었어요.

아이가 인생이라는 숲을
현명하게 모험하는 탐험가로 자라기 위해
속한 가정과 사회를 긍정하며
자신의 세계를 넓혀가기 위해
어른이 해야 할 일을 알려주는 고마운 책입니다.

아이의 엄마로서의 나뿐 아니라
다정한 이웃, 선배 시민으로서의
나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습니다.

_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온 마을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하죠.
지혜로운 어른들이 많이 사는 마을을 찾기보다
나부터 현명한 어른이 되어야지, 하는
기특한(!) 결심이 서네요.

<도시의 양육자>를 읽고
여러 지인들에게 이 책의 링크를 보냈습니다.
좋은 책을 읽고 나면 늘 그렇듯
손가락이 근질근질해서요 :)


*트랙원 출판사에서 보내주신 책 감사히 읽고
양육자로서 큰 도움 받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