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곡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통곡, 보통의 통곡은 소리 내어 울면서 온 몸을 부들부들 떨다 못해 쓰러져서 온 몸으로 울어내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모습일 것이다. 나 역시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흔히 생각하는 행동 태양을 떠올리고 있었다. 하지만 작가의 첫 소설이라는 이 책은 그런 통곡만이 통곡이 아니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알리어 온다.
1991년, 어느 날 여아 유괴 사건이 발생하고 수사과에는 비상이 걸린다. 보통 유괴 사건은 대상이 실종 된 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승부를 봐야 하는 것이 보통인데, 시간이 갈수록 사건이 극명해지기는커녕 실종되었던 여자아이는 시체로 발견되고만다. 범인의 흔적을 발견할 길 없이 사건은 오리무중에 빠지는데 설상가상으로 다른 유괴 사건이 뒤이어 발생한다. 사건들의 공통점은 4-5세의 여자 아이, 그리고 사건은 모두 월요일에 벌어졌다는 것. 그것만 가지고 과연 동일인의 짓이라고 단정 지을 수 있을 것인가. 유괴범은 뻔뻔하게 경찰을 조롱하듯 편지를 보내오고 사건은 유괴범과 경찰의 정면승부로 흘러간다.
우리나라에서 경찰대학교를 나와 무난히 승진가두를 달리고 있는 듯한 수사1과장인 세이지는 전 법무대신 아버지와, 현 경찰청 과장 의 사위라는 든든한 빽을 두고 있어 여러 가지 소문과 함께 비난의 눈총을 받고 있다. 경찰들 사이에서는 세이지같은 앨리트들을 “캐리어”라 칭하고 순경부터 시작한 사람들을 “논캐리어”라 칭하며 그사이를 융화시킬 수 없는 벽이라도 존재하는 양 서로를 구분 짓고 있다. 그렇기에 더욱이 부하들은 세이지에 대한 반발심이 큰 모양이지만 실은 세이지는 순전히 자신의 우수한 직관력과 실력으로 출세한 타입이다. 하지만 냉정하고 차분하며 모든 사물을 꿰뚫어 보는 힘이 있는 세이지는 자신에 대한 어떤 비난에도 흔들림 없는 견고한 자세를 취한다.
또 다른 화자인 마쓰모토는 가슴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는 사람이다. 이야기를 하는 내내 세상에 대한 불만과 자신이 처해 있는 현실에 대한 부조리함에 대한 분노를 여과 없이 드러낸다. 어떤 것을 봐도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며 매우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어떤 사건으로 인해 딸을 잃어버린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채로 그 어떤 걸 봐도 공허한 삶을 겨우 연명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그는 세상 사람들의 기쁜 모습들에 비해 더 이상 자신은 그렇게 웃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절망감에 빠져있다. 공원에 외로이 앉아 아이들이 노는 것을 하릴없이 지켜 보는 것으로 하루를 나곤 하던 그가 행복을 되찾게 되는 것은 우연한 일에서 비롯됐다. 여느 날과 다름 없이 길에서 멍하니 있는데 한 여대생이 다가와 “당신의 행복을 빌 수 있게 해주세요.”라는 말을 했고, 이상하게도 그 순간 그녀에게서 모든 것을 구원받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그 이후로 그는 신흥종교에 빠지게 되고 스스로를 그리고 이미 죽은 딸을 구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이야기는 세이지의 관점과 마쓰모토의 관점이 교차되며 쓰여져 나간다. 꽤 두꺼운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가독성이 매우 좋아 손에 잡은 지 채 몇 시간 지나지 않아 마지막 장을 읽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욱이 딸을 둔 아버지는 물론이고 누구나 읽어 나갈수록 자식을 가지고 있는 부모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고통과 분노, 유괴범에 대한 적개심이 그대로 전해져와 흥분토록 만들었다. 수사가 진척되는 상황이나 목격자의 정보 없이는 유괴범에 대한 더 이상의 접근이 불가능한 점. 불가피한 매스미디어와의 공생관계, 신흥종교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전달, 그리고 수사1과장이라는 위치에서의 한 사내의 고달픈 상념 등은 너무도 사실적이었기에 감탄을 금치 못했으며, 손으로 울어내는 한 남자의 통곡에 나도 어느새 어깨를 들썩이며 작은 통곡을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