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개 줍는 아이들 1
로자문드 필처 지음, 구자명 옮김 / 리프 / 2025년 2월
평점 :

* 포레스트에서 받아본 책이다.
절판 되었다가 복간 된 책이라는 점이
나를 궁금하게 했다.
해외 작품인데다가 인생책으로 꼽은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도 함께.
얼마나 좋은 책이길래 이 책이
세상에 다시 나오길 바라는 마음들이 모인걸까?
* 서평단 신청은 했지만, 너무 쟁쟁한 경쟁에
반쯤 포기하고 있었는데, 감사하게도 연락을 주셨다.
유화로 그려진 그림으로 보이는
조개 줍는 아이들.
표지만 봐도 파도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마음이 편안해 지는 책이었다.
* 표지만 살살 쓰다듬어도 나도 몰래
어린 시절의 추억이 생각 났다.
나도 꼭 저 나이에, 이런 추억이 있었지~ 하고.
그렇게 펼쳐본 책은 나를 60대 할머니,
페넬로프에게로 데려갔다.
* 페넬로프는 세 자식을 둔 어머니로
얼마 전 심장 마비로 죽다가 살아났다.
비록 그녀는 그것이 별거 아닌 일인 듯,
의사들의 말을 무시하고 자신의 보금자리로 돌아왔지만.
하지만 '살아있다' 라는 사실 자체에
기쁨을 느낀 페넬로프.
그렇게 이야기는 페넬로프와 그녀의 세 아이를
중심으로 흘러갔다.
* 페넬로프의 큰 아이 낸시.
낸시는 자신의 집을 소유한 기혼의 여성이었다.
낸시 또한 두 아이의 엄마였으며
어머니를 걱정하는 장녀의 모습을,
그러나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 동생들에게
분노를 느끼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 페넬로프의 둘째 딸인 올리비아.
그녀는 누가 봐도 성공한 커리어우먼이었다.
젊고 아름다운 외모에 부까지 갖춘,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페넬로프를 가장 편안하게 해주는
자식처럼 보였다.
* 페넬로프의 아들이자 막내인 노엘.
페넬로프에 의하면 그는 제 아비를
꼭 닮은 모습이었다.
어머니에 대한 무신경함, 온갖 파티를 쫓아다니며
돈 많은 여성들만 골라 만나는 한탕주의.
* 어머니인 페넬로프부터 세 자녀들까지.
모두 개성 넘치고 자신의 주관과 특색이
또렷한 가족이었다.
이야기는 현재인 1980년대와 그들의 과거를
교차하는 형식으로 보여주었다.
아주 먼 과거로는 페넬로프가 태어나기도 전인
그녀의 아버지 로런스 스턴과 어머니 소피의 이야기부터
세계 제2차대전을 거쳐 페넬로프의 사랑이야기로,
가까운 과거는 올리비아가 이비자 섬에서 1년 동안
머물던 이야기와 그들의 현재까지 그려내고 있었다.
* 이 한 어머니와 세 자녀는
그녀의 아버지이자 그들의 외할아버지인 로런스 스턴의
그림 때문에 묘하게 꺼름칙한 관계가 되었다.
페넬로프는 아버지가 주신 선물을 절대 팔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낸시와 로엘은 빅토리아 시대의 화가 작품들이
다시 각광을 받고, 그림 값이 정점에 오른 지금,
그 그림을 팔아서 자신들이 나누어 가지는
꿈에 부풀어 올라 있었다.
오로지 올리비아만이 페넬로프를 이해하는 것처럼 보였다.
* 여기에 새로운 친구이자 가족의 형태로
들어오게 된 안토니아.
그녀의 등장이 페넬로프의 인생에
어떤 전환점이 될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자식들보다 그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사람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 책을 읽으면서 그 한 사람을 통해
알아볼 수 있는 그 방대한 분량에 대해 매우 놀랐다.
페넬로프를 통해서 그 시대의 음식과 의복 등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는 물론이고
전시 현황과 그 시대에도 연령 별로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면서 지내는지 잘 알 수 있었다.
그들이 즐겼던 오락거리, 읽었던 책도 흥미로웠고
그들의 정원과 그것들을 함께한 친구들을
보는 것도 매우 즐거운 일이었다.
* 1권의 말미에 페넬로프는
전쟁 중에 가장 사랑했던 한 사람을 잃었던
그 지점에 서 있었다.
이 일이 페넬로프 인생에서 어떤 전환점을
가지게 했는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1권이 과거를 중심으로 한 현재였다면,
2권은 본격적인 현재와 미래,
그리고 로런스 스턴의 작품의 행보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